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차세대 투명전극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기술
권상직 연구실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전자소자에 필수적인 투명전극과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ITO/Ag/ITO, ITO/Mesh-Ag/ITO와 같은 다층 구조의 투명전극을 개발하여, 기존 단일 ITO 전극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스퍼터링, 원자층 증착(ALD), 레이저 패터닝 등 다양한 박막 증착 및 패터닝 공정을 활용하여 고투과도와 고전도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투명전극의 전기적·광학적 특성 최적화를 위해 Ag 메쉬 구조, AZO(알루미늄 도핑 산화아연) 등 다양한 소재와 구조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고, FDTD(유한차분 시간영역)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론적 분석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기기, 투명전자소자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OLED의 효율 향상과 봉지막(Encapsulation) 기술 개발에도 집중하여, 장기 신뢰성과 내구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투명전극과 OLED의 융합을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대면적, 고효율, 저비용 공정 기술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산학연 협력 및 다양한 국책과제를 수행하며, 실용화와 상용화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2
이차원 반도체 및 박막 트랜지스터(TFT) 기반 신소재·소자 연구
권상직 연구실은 이차원 반도체(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TMDCs)와 박막 트랜지스터(TFT) 기반의 신소재 및 소자 연구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습니다. MoS2, WS2 등 이차원 TMDC 박막을 RF/DC 스퍼터링, 화학기상증착(CVD), 원자층 증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성장시키고, 이들의 전기적·광학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차세대 플렉서블 전자소자, 센서, 태양전지 등에 적용 가능한 고성능 박막 소자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a-IGZO(비정질 인듐-갈륨-아연 산화물) 기반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 향상, ZnO, AZO 등 산화물 반도체의 박막 특성 제어, 그리고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OTFT) 및 유기 광다이오드(OPD) 소자 개발 등 다양한 소재와 구조를 실험적으로 검증합니다. 또한, 레이저 패터닝, 저온 공정, 플렉서블 기판 적용 등 차별화된 공정기술을 도입하여, 대면적·저비용·고효율 소자 제작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센서, 바이오·의료용 광전자 소자, 고효율 태양전지 등 다양한 첨단 응용 분야에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연구실은 소재 개발부터 소자 제작, 특성 평가, 공정 최적화까지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며, 국내외 학술지 및 특허 출원,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연구 성과를 확산시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