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부 엄광섭 교수
Soft Nanomaterials and Energy Lab(연성 나노소재 및 에너지 연구실)은 차세대 에너지 및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인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고분자, 나노소재, 하이브리드 구조체 등 다양한 연성 소재의 합성과 미세구조 제어를 통해, 에너지 저장, 변환, 분리 및 촉매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공성 고분자 멤브레인 및 네트워크 구조체의 설계와 합성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졸-겔(sol-gel) 공정, 상분리, 교차결합 등 다양한 화학적·물리적 기법을 활용하여 고성능 분리막 및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기체 분리, 촉매 담지체, 약물전달 시스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리튬이온전지, 리튬-황전지, 리튬-셀레늄전지 등 차세대 이차전지용 전극 및 전해질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다공성 구조체, 표면처리 기술, 인공 SEI 계면 형성, 고분자 복합소재 전해질 등 혁신적 접근을 통해 전지의 수명, 안전성, 에너지 밀도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전극 소재의 미세구조 제어와 계면 반응 분석을 통해, 고효율·고안정성 이차전지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수소 생산 및 연료전지 분야에서도 본 연구실은 고성능 촉매 및 내구성 전극 소재 개발,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 메커니즘 분석, AI 기반 소재 설계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친환경 수소 에너지 사회 실현과 미래 에너지 전환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Soft Nanomaterials and Energy Lab은 융합적이고 창의적인 연구 환경을 바탕으로, 소재과학, 에너지공학, 나노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 인재들과 함께 미래 에너지 및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