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진은선 연구실

경희대학교 의학과

진은선 교수

진은선 연구실

의학과 진은선

진은선 연구실은 순환기내과를 중심으로 심혈관질환, 이상지질혈증, 심방세동, 골다공증 등 다양한 내과적 질환의 임상 및 기초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국내외 대규모 임상 데이터를 활용한 다기관 연구, 무작위 임상시험, 동물실험 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환자 치료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근거를 창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심방세동과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의 항혈전 치료 전략, 새로운 위험도 평가 도구(ABCD 점수 등)의 임상적 유용성 검증, 항응고제 및 항혈소판제의 최적 사용 기준 마련 등 심혈관질환 관리의 최신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상지질혈증의 유병률, 치료 및 조절 현황, 국민 인식 조사 등 국가적 차원의 건강관리 정책 수립에 필요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 임상진료지침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골다공증 및 뼈 대사 질환 분야에서도 동물 모델을 활용한 기초 연구와 임상 연구를 병행하여, 프로바이오틱스, 유전자 조작 유산균, 생분해성 임플란트 등 혁신적 치료법의 효과를 검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골다공증 환자의 골절 예방,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 향상, 뼈 재생 촉진 등 실제 환자 치료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학회, 정부기관, 연구재단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최신 임상지침 개발, 정책 자문, 대중 교육 등 사회적 기여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학술대회에서 활발한 발표와 교류를 통해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후학 양성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진은선 연구실은 심혈관질환, 이상지질혈증, 골다공증 등 주요 만성질환의 예방, 진단, 치료 및 관리에 관한 선도적 연구를 지속하여, 국민 건강 증진과 의학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심방세동 및 관상동맥질환 환자의 항혈전 치료 전략
심방세동과 안정된 관상동맥질환을 동시에 가진 환자에서 최적의 항혈전 치료 전략은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한 주제입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에독사반 단독 요법과 에독사반과 항혈소판제 병용 요법을 비교하여, 단독 요법이 사망, 심근경색, 뇌졸중, 주요 출혈 등 복합 임상 결과에서 더 우수한 효과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심방세동 환자에서 불필요한 항혈소판제 병용을 줄이고, 출혈 위험을 낮추는 방향으로 치료 전략을 재정립하는 데 중요한 근거를 제공합니다. 이 연구는 다기관,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질적인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특히, 한국인 환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연구 결과는 국내 환자 특성에 맞는 맞춤형 치료 가이드라인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심방세동 환자에서 뇌졸중 위험도 평가를 위한 ABCD 점수 등 새로운 위험도 평가 도구의 임상적 유용성도 함께 검증되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심방세동 및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항응고제 및 항혈소판제의 적절한 사용 기준을 마련하고, 환자 개개인의 위험도에 따른 맞춤형 치료를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의 항혈전 치료 전략에 대한 추가 연구와 실제 임상 적용을 통한 환자 예후 개선이 기대됩니다.
이상지질혈증의 유병률 및 관리 현황 연구
이상지질혈증은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 인자로, 국내에서도 그 유병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등 대규모 국가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상지질혈증 및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유병률, 치료율, 조절률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습니다. 특히, 여성의 저HDL콜레스테롤 기준 변화에 따른 유병률 변화, 연령별·성별 특성, 치료 및 관리 현황 등 다양한 측면을 심층적으로 조사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국내 성인에서 이상지질혈증의 유병률이 40%를 상회하며,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유병률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그러나 치료율과 조절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국가적 차원의 적극적인 관리와 교육,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또한, 국민 대상 인식 조사 결과, '좋은 콜레스테롤'과 '나쁜 콜레스테롤'에 대한 인지도는 높으나, 이상지질혈증 자체에 대한 인식과 관리 방법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수립, 임상 진료지침 개발, 대중 교육 프로그램 설계 등에 중요한 근거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상지질혈증의 조기 진단, 효과적인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다각도의 연구와 실천적 접근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골다공증 및 심혈관질환의 연관성 및 치료 연구
골다공증은 주로 폐경 후 여성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만성 질환으로, 최근에는 심혈관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동물 모델 및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골다공증과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새로운 치료법의 효과를 검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프로바이오틱스, 유전자 조작 유산균, 생분해성 나사 등 다양한 치료 접근법을 실험하여, 골질 개선 및 뼈 재생 효과를 평가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특정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나 유전자 조작 유산균이 골다공증 동물 모델에서 골밀도 증가, 골 구조 개선, 골대사 지표 개선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생분해성 나사에 골형성 단백질을 적용한 경우, 뼈 주변의 골질이 현저히 개선되고, 임플란트와 뼈의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골다공증 환자의 골절 예방 및 치료,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 향상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아울러, 골다공증과 뇌혈관질환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에서는, 골다공증성 고관절 골절이 뇌혈관질환의 위험 인자임을 확인하였으며, 연령, 고혈압, 흡연 등과 함께 다중 위험 요인으로 작용함을 밝혔습니다. 앞으로도 골다공증과 심혈관질환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기초 및 임상 연구를 지속하여, 환자 맞춤형 예방 및 치료 전략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1
Edoxaban Antithrombotic Therapy for Atrial Fibrillation and Stable Coronary Artery Disease
Cho, Min Soo, Kang, Do-Yoon, Ahn, Jung-Min, Yun, Sung-Cheol, Oh, Yong-Seog, Lee, Chang Hoon, Choi, Eue-Keun, Lee, Ji Hyun, Kwon, Chang Hee, Park, Gyung-Min, Choi, Hyung Oh, Park, Kyoung-Ha, Park, Kyoung-Min, Hwang, Jongmin, Yoo, Ki-Dong, Cho, Young-Rak, Kim, Ji Hyun, Hwang, Ki Won, 진은선, Kwon, Osung, Kim, Ki-Hun, Park, Seung-Jung, Park, Duk-Woo, Nam, Gi-Byoung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2412
2
Impact of Trimetazidine on the Incident Heart Failure After Coronary Artery Revascularization
Park, S., Chang, J., Hong, S.-P., 진은선, Kong, M.G., Choi, H.-Y., Kwon, S.S., Park, G.-M., Park, R.W.
Journal of cardiovascular pharmacology, 202310
3
Net clinical benefit of oral anticoagulants in Korean atrial fibrillation patients with low to intermediate stroke risk: A report from the Clinical Survey on Stroke Prevention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CS-SPAF)
Jung, Moonki, Byeon, Kyeongmin, Kang, Ki-Woon, Lee, Wang-Soo, Kim, Sang Wook, Park, Yae Min, Hwang, You Mi, Lee, Sung Ho, 진은선, Roh, Seung-Young, Kim, Jin Seok, Ahn, Jinhee, Lee, So-Ryoung, Choi, Eue-Keun, Ahn, Min-Soo, Lee, Eun Mi, Park, Hwan-Cheol, Lee, Ki Hong, Kim, Min, Choi, Joon Hyouk, Ko, Jum Suk, 김진배, Kim, Changsoo, Lip, Gregory Y. H., Shin, Seung Yong
JOURNAL OF ARRHYTHMIA, 202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