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우지희 연구실

원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우지희 교수

Smart Home Technology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우지희 연구실

작업치료학과 우지희

우지희 연구실은 작업치료학과를 기반으로 노인작업치료와 보조공학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들의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기능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임상적 중재 방법을 개발하고, 복지용구 및 서비스의 품질 개선을 위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노인 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자를 대상으로 한 복지용구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임상적 근거 제시 등은 노인복지 향상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장애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사회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공학기기 활용 및 서비스 전달과정의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보조공학 전문가와 사용자 대상의 심층 인터뷰, 복지용구 사용자의 보호자 경험 분석 등 다양한 질적 연구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보조공학기기 개발과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홈 환경이 휠체어 사용자에게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실증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첨단 복지기술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정신 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기반 작업치료, 뇌성마비 아동의 섭식기능 향상을 위한 구강운동촉진기술, 애플리케이션 기반 인지중재 등 다양한 대상과 중재방법을 포괄적으로 연구합니다. 이를 통해 작업치료의 임상적 근거를 확립하고, 다양한 환경과 대상에 맞는 맞춤형 중재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장애인의 여가활동 참여와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환경적 요인 분석, 수ㆍ전동휠체어 사용자 경험 연구 등은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통합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복지용구 품목 및 서비스 개선, 스마트 환경 적용, 지역사회 기반 작업치료 등은 모두 사회적 약자의 자립과 참여를 지원하는 중요한 연구 주제입니다. 우지희 연구실은 임상적 근거에 기반한 연구와 실용적 중재 개발을 통해, 노인과 장애인의 건강 증진, 자립생활 지원, 사회참여 확대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 분야의 학문적 발전과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할 것입니다.

Smart Home Technology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노인작업치료의 임상적 적용과 발전
노인작업치료는 고령화 사회에서 점차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분야로, 노인의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기능을 유지 및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중재 방법을 연구합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노인 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자를 대상으로 복지용구의 품목과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를 조사하여, 노인들의 자립적인 일상생활을 지원할 수 있는 맞춤형 작업치료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노인 개개인의 건강상태와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복지용구 개발 및 서비스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가정방문 작업치료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낙상위험이 있거나 낙상경험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가정환경수정 및 일상생활수행훈련의 임상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장기요양 및 재가복지서비스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양한 중재적용 사례와 임상적 근거를 바탕으로, 노인성 질환 및 정신건강장애를 가진 환자들에게도 효과적인 작업치료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노인작업치료 연구는 단순히 신체적 기능 회복에 그치지 않고, 심리사회적 기능, 삶의 질, 사회참여 등 다양한 측면을 포괄합니다. 본 연구실은 노인복지용구의 품목 개발, 서비스 개선, 그리고 임상적 중재 방법의 다각적 연구를 통해 고령화 사회의 복지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보조공학 및 스마트 환경을 활용한 장애인 작업치료
보조공학은 장애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사회참여를 증진시키는 핵심적인 기술로, 본 연구실은 보조공학기기의 활용 및 서비스 전달과정의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장애인과 보조공학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 및 질적 연구를 통해, 보조공학기기 평가, 매칭, 전달과정에서의 장애요인과 촉진요인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형 보조공학기기 개발과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홈 환경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일상생활 수행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스마트 홈은 전동화된 가구, 자동화된 기반 시설, 음성 제어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하여 장애인의 자립적인 생활을 지원합니다. 연구 결과, 스마트 홈 환경에서 장애인의 일상생활 수행도와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향후 장애인 주거환경 개선 및 스마트 복지기술 개발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합니다. 이 외에도, 복지용구 사용자의 보호자와 장애인 당사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복지용구 품목 및 서비스의 개선점을 도출하고, 실효성 높은 보조기기 개발과 서비스 전달체계의 혁신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보조공학과 스마트 환경을 융합한 작업치료 연구를 통해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참여 확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Barriers and facilitators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delivery process (AT-SDP) in South Korea
우지희, 장완호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ASSISTIVE TECHNOLOGY, 202308
2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인지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우지희, 이희령, 이샘은, 김보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2406
3
구강운동촉진기술(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 OMFT)이 뇌성마비 아동의 섭식기능에 미치는 효과
우희순, 홍덕기, 최유임, 서상민, 민경철, 우지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2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