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환경공학과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건설환경플랜트공학전공 오재일
본 연구실은 상하수도공학을 중심으로 도시 물관리, 하수관로 시스템, 하수열 에너지, 오염물질 저감 및 자원순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도시 인프라의 핵심인 상하수도 시스템의 설계, 운영, 유지관리 기술을 개발하며, 첨단 센서와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하수관로 상태 평가 및 자산경영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한 내수침수, 도시 홍수, 지반침하 등 다양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하수관로의 복원력 평가와 안전관리 솔루션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관리, 머신러닝 기반 예측 모델링,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등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또한, 하수관로 내 병원성 물질 및 미세오염물질의 거동 분석과 환경부하 예측을 통해 공공보건과 환경보호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하수열 에너지 회수 및 활용 기술 개발 역시 본 연구실의 중요한 연구 분야입니다. 하수열 교환기, 열 생산 장치 등 다양한 특허와 실용화 기술을 바탕으로, 하수열 에너지의 효율적 회수와 도시 에너지 전환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하수열 에너지 공급 대상지 선정, 비굴착 시공 및 자가세척 기술, 하수 재이용과의 통합적 평가 등 혁신적인 연구를 통해 에너지 자립도 향상과 탄소중립 실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도시 비점오염원 저감, 오염물질의 고도 처리, 자원순환 및 재활용 기술 개발 등 다양한 환경공학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실무 적용과 정책 제안, 산업체와의 협력 연구를 통해 도시 환경의 지속가능성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첨단 기술과 융합적 접근을 바탕으로, 도시 물관리와 에너지, 환경 분야의 혁신을 선도하며, 지속가능한 미래 도시 구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
Recycling of Waste Concrete
Road Runoff Pollution Mitigation
Non-Point Source Pollution Treatment
상하수도공학 및 도시 물관리
상하수도공학은 도시의 물 순환 시스템을 설계, 운영, 관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본 연구실은 상하수도 시스템의 효율적 구축과 운영을 위해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하수관로의 설계, 유지관리, 결함 진단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도시 인프라의 안전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한 내수침수, 도시 홍수, 지반침하(싱크홀) 등 다양한 도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하수관로의 복원력 평가와 안전관리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첨단 센서,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관리,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하수관로 상태 평가 및 예측 모델링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하수관로 내 병원성 물질 및 미세오염물질의 거동 분석과 환경부하 예측을 통해 공공보건과 환경보호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의 물관리 정책 수립과 실무 적용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하수관로의 자산경영, 유지보수 최적화, 재난 예방 및 대응 체계 구축 등 실질적인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첨단 기술과 융합적 접근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 물관리 시스템 구축에 앞장설 것입니다.
하수열 에너지 및 자원순환 기술
하수열 에너지는 하수에 포함된 열을 회수하여 에너지로 재활용하는 친환경 기술로, 최근 도시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 분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하수열 에너지 회수 및 활용 시스템의 설계, 평가, 최적화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하수열 교환기, 열 생산 장치 등 관련 특허와 실용화 기술 개발을 통해 하수열의 효율적 이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특히, 하수열 에너지 공급 대상지 선정, 하수열 교환기의 비굴착 시공 및 자가세척 기술, 하수열 회수와 하수 재이용의 통합적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등 실질적이고 혁신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 내 에너지 자립도 향상,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비용 절감 등 다양한 사회적·환경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하수열 에너지 시스템의 실증 및 상용화 연구를 통해 실제 도시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관련 정책 및 제도 개선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하수열을 비롯한 다양한 도시 자원의 순환 및 재이용 기술 개발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 환경 구축에 앞장설 계획입니다.
1
하수열에너지 공급 대상지 선정 방법론 개발: 잠재적 수요처의 연면적을 중심으로
오재일, 박기홍, 전창현
상하수도학회지, 202410
2
Effect of rainfall-derived inflow and infiltration on dissolved organic matter in urban sanitary sewers using chemometric and machine learning approaches
남성남, 이성훈, 오재일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202407
3
A new evaluation framework for the assessment of wastewater heat recovery potential coupled with wastewater reuse
Eza Ramadhan, 오재일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202312
1
[LINC3.0산학공동]하수열을 이용한 에너지 재이용 시스템 설계기술 개발
2
[RCMS] 클라우드 기반 하수관로 종합상태 평가 및 자산경영 기술 개발
3
[대형 국가R&D과제 센터운영비 지원제도] 클라우드 기반 하수관로 종합상태 평가 및 자산경영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