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Architectural Spatial Theory and Design Lab.

중앙대학교 건축학부

현창용 교수

Space Syntax

Urban Space Analysis

Public Design

Architectural Spatial Theory and Design Lab.

건축학부 현창용

Architectural Spatial Theory and Design Lab.은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기반으로 한 건축 및 도시공간의 정량적·정성적 분석과 평가를 핵심 연구 분야로 삼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건축물과 도시공간의 공간구조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공간의 효율성, 공공성, 접근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질적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공간구문론을 비롯한 첨단 분석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실제 프로젝트와 연계하여 실질적인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축 및 도시공간의 용도별, 분야별 평가지표와 계획기준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평가지표는 공공건축, 교육시설, 복합상업시설 등 다양한 공간 유형에 적용되어, 각 공간의 목적과 특성에 맞는 평가와 계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공간의 질적 향상과 사용자 만족도 제고에 기여하며, 지속가능한 도시발전과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정책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공공건축 및 도시공간의 기획과 설계, 그리고 공간디자인 솔루션 개발 역시 중요한 연구 영역입니다. 마스터플랜, 공공디자인, 가구디자인 등 다양한 디자인 솔루션을 제시하며,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공간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탈권력적 공간구조, 개방성과 투명성, 시민참여 등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공공성 실현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이론적 연구와 실무적 적용을 병행하며, 다양한 학술논문, 프로젝트, 정책연구, 수상 경력 등을 통해 그 우수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실제 건축 설계, 도시계획, 정책 자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구체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으며, 미래지향적 공간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Architectural Spatial Theory and Design Lab.은 건축 및 도시공간의 질적 향상과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예정입니다. 첨단 분석기법과 창의적 디자인 솔루션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공간환경 조성에 기여하며, 건축학 분야의 발전을 선도해 나갈 것입니다.

Space Syntax
Urban Space Analysis
Public Design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활용한 건축 및 도시공간의 정량·정성적 분석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은 건축 및 도시공간의 구조를 수치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공간의 특성과 사용자의 행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 연구실은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다양한 건축물과 도시공간의 공간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공간의 효율성과 공공성, 접근성 등을 평가합니다. 이러한 분석은 건축 및 도시계획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설계, 평가, 리모델링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정량적 분석뿐만 아니라, 정성적 평가도 함께 이루어집니다. 사용자의 경험, 공간의 상징성, 사회적 의미 등 다양한 비가시적 요소를 고려하여 공간의 질적 가치를 도출합니다. 예를 들어, 공공청사, 도서관, 교육시설 등 다양한 유형의 건축물에 대해 공간구조의 변화와 그에 따른 사회적 영향, 사용자의 만족도, 공간의 공공성 강화 방안 등을 심층적으로 연구합니다. 이를 통해 공간구문론이 단순한 분석 도구를 넘어, 사회적 맥락과 문화적 의미를 반영하는 설계 및 평가의 핵심 방법론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건축 및 도시 프로젝트에 적용되어, 공공건축의 민주성 강화, 도시공간의 활력 증진, 다양한 사용자 집단의 요구 반영 등 실질적인 사회적 가치를 창출합니다. 또한, 공간구문론 기반의 연구 결과는 정책 수립, 계획 기준 마련, 리모델링 가이드라인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건축 및 도시공간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건축 및 도시공간의 평가지표와 계획기준 개발
현대 건축 및 도시공간은 다양한 용도와 기능, 그리고 사용자 집단의 요구를 반영해야 하는 복합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이러한 복합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설계 및 계획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평가지표와 계획기준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용도별, 분야별로 세분화된 평가지표를 통해 각 공간의 목적과 특성에 맞는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공간계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평가지표 개발 과정에서는 공간의 물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 요소까지 포괄적으로 고려합니다. 예를 들어, 공공건축물의 경우 공공성, 접근성, 안전성, 유연성 등 다양한 평가항목을 설정하고, 이를 정량적·정성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합니다. 또한, 도시공간에서는 보행환경, 녹지공간, 커뮤니티 활성화 등 도시민의 삶의 질과 직결되는 요소들을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이러한 평가지표와 계획기준은 실제 설계 및 정책 수립 과정에서 중요한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됩니다. 이 연구는 학교, 도서관, 청사, 복합상업시설 등 다양한 건축 및 도시공간 유형에 적용되어, 공간의 질적 향상과 사용자 만족도 제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가능한 도시발전과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정책적 근거를 제공하며, 미래지향적 공간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공공건축 및 도시공간의 기획과 설계, 그리고 공간디자인 솔루션
공공건축과 도시공간의 기획 및 설계는 사회적 요구와 시대적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는 영역입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공공건축 프로젝트와 도시공간 설계에서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공간디자인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마스터플랜 수립, 공공디자인, 가구디자인 등 공간의 전반적인 기획에서부터 세부적인 설계에 이르기까지,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 공간의 가치를 극대화합니다. 특히, 공공건축의 경우 탈권력적 공간구조, 개방성과 투명성, 시민참여 등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공공성의 실현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공간구문론 등 첨단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공간의 흐름과 관계성을 면밀히 파악하고, 사용자 중심의 설계 방안을 도출합니다. 또한, 도시재생, 여성친화 디자인, 녹색건축 등 사회적 이슈와 연계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공간환경 조성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와 실천은 실제 건축 설계, 도시계획, 정책 자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구체적인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수상 경력과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그 우수성이 입증되고 있으며, 미래 도시와 건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시대별 아파트 보행환경의 변화에 따른 외부공간 공간구조 분석
류세미, 현창용
KIEAE Journal, 202308
2
Analysis of Spatial Structure for Outdoor Space according to the Changes of Pedestrian Environment in the Apartment Complex by Period
Ryu, S., Hyun, C.
KIEAE, 1970
3
Analysis about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on the Public Libraries by Chronological Type
Hwang, D., Hyun, C.
KIEAE, 1970
1
원도심 콘텐츠 테마타운 조성 기본구상 용역
순천시청
2024년 12월 ~ 2025년 03월
2
생활밀착형 탄소흡수 녹지공간 조성을 위한 연구모임 정책연구용역
천안시의회
2024년 05월 ~ 2024년 11월
3
[EZbaro] 학교공간 혁신을 위한 공간 재구조화 방안 및 건축계획기준 수립
한국연구재단
2020년 09월 ~ 2021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