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강구조 설계 및 해석
강구조 설계 및 해석은 건축 구조물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연구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강구조 부재와 접합부의 거동을 실험적, 해석적으로 분석하여 구조물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반복하중, 국부좌굴, 비탄성 거동 등 실제 구조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하중 조건을 고려한 설계 기준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최신 강재 소재의 특성 평가와 용접부의 성능 분석을 통해 고강도 강재의 건축 구조 적용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탐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실험실 규모의 모형 실험뿐만 아니라, 수치해석 및 유한요소해석 기법을 적극 활용하여 실제 구조물의 거동을 정밀하게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강구조 설계기준 및 해설, 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 등 다양한 기준서와 매뉴얼의 집필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강구조의 내진 성능 향상, 슬림플로어 시스템 개발, 고층 건축물의 구조 안전성 평가 등 실무적 요구에 부응하는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외 학술지와 학회에서 활발히 발표되고 있으며, 실제 건설 현장에 적용되어 건축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
강구조의 내진 성능 및 손상 진단
강구조물의 내진 성능 확보와 구조적 손상 진단은 현대 건축물의 안전성 향상에 필수적인 연구 주제입니다. 본 연구실은 지진, 바람 등 외부 동적 하중에 대한 강구조물의 거동을 분석하고, 내진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설계 및 보강 기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콘크리트충전 강관구조(CFT), 하이브리드 합성보 등 다양한 신기술을 적용한 내진 구조 시스템의 실험적 검증과 해석적 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구조물의 손상 진단 분야에서는 센서 기반의 계측 데이터와 수치해석 기법을 결합하여 구조적 결함이나 손상 위치를 신속하게 탐지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주파수 응답 함수(FRF), 변형률 게이지, 가속도계 등 다양한 계측 장비를 활용한 실험과, 데이터 기반의 손상 식별 알고리즘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구조물의 유지관리 및 보수보강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강구조물의 장기적 안전성 확보와 재난 대응 능력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구조물의 재사용 및 친환경 건축을 위한 강구조 설계기술 개발과도 연계되어, 지속가능한 건축 환경 조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