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류마티스 질환의 역학 및 임상 연구

본 연구실은 류마티스 질환, 특히 류마티스관절염(RA),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LE), 통풍, 강직성 척추염 등 다양한 류마티스 질환의 역학적 특성과 임상 양상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국 규모의 코호트(KORONA 등) 및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인에서의 질환 유병률, 발생률, 위험인자, 동반질환 및 약물 사용 패턴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 여성의 가임기 류마티스 질환 환자에서의 임신, 출산, 약물 사용, 합병증, 암 발생 위험 등 다양한 임상적 이슈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가임기 여성에서의 류마티스 질환의 유병률 및 발생률, 동반질환, 약물 사용, 임신 및 출산 결과, 산과적 합병증, 신생아 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을 대규모 인구 기반 연구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류마티스 질환 환자에서의 골다공증, 심혈관계 질환, 감염, 암 등 주요 합병증의 위험 요인과 예방 전략을 제시하고, 환자 맞춤형 관리 방안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 게재되었으며, 임상 진료 가이드라인 개발, 환자 교육 자료 제작, 보건 정책 수립 등 실제 의료 현장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빅데이터와 첨단 역학 연구 방법론을 접목하여, 한국인의 특성을 반영한 류마티스 질환 관리의 표준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2

면역학적 기전 및 바이오마커 연구

본 연구실은 류마티스 질환의 발병 및 진행에 관여하는 면역학적 기전, 특히 B세포의 분화, 자가항체 생성, 면역조절 기능 이상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LE)와 류마티스관절염(RA) 환자에서의 B세포 아형, pre-naive B세포, CD5+ B세포 등 다양한 B세포 하위 집단의 기능적 특성과 자가면역 발생 기전을 분자생물학적, 세포면역학적 기법을 통해 규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전체 연관분석(GWAS), HLA 유전자 다형성 연구, 면역글로불린 레파토리 분석 등 첨단 오믹스 기반 연구를 통해 질환 감수성 유전자, 예후 예측 바이오마커, 치료 반응 예측 인자 등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한국인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새로운 감수성 유전자 좌위를 규명하고, 아시아 특이적 유전자 변이의 임상적 의미를 밝히는 등 국제적 연구 성과를 창출하였습니다. 이와 더불어, 면역세포 신호전달, 사이토카인 네트워크, 자가항체 프로파일 등 다양한 분자·세포 수준의 바이오마커를 임상 데이터와 연계하여, 질환의 조기 진단,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면역학적 기전 연구와 임상적 적용을 연계하여, 류마티스 질환의 정밀의료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

류마티스 질환 환자의 삶의 질, 교육 및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

본 연구실은 류마티스 질환 환자의 삶의 질(QoL), 기능장애, 치료 순응도, 환자 중심 관리 등 환자 경험 및 교육에 관한 연구도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환자 설문조사, 다기관 코호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환자의 질병 인식, 치료 선호도, 정보 탐색 행태, 보완대체요법 사용, 우울 및 피로 등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환자 교육 가이드라인 개발, 모바일 앱·챗봇·영상 등 디지털 헬스케어 도구의 활용, 디지털 건강문해력 증진 방안 등에 대한 전문가 합의 연구를 진행하여,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환자 맞춤형 교육과 자기관리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환자와 의료진 간의 질병활동 평가 불일치, 치료 목표 설정, 의사결정 공유 등 환자 중심 진료 모델 확산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 삶의 질 향상, 치료 순응도 증진, 만성질환 자기관리 역량 강화 등 실질적인 임상적 효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디지털 헬스케어와 환자 중심 연구를 융합하여, 류마티스 질환 환자의 건강 증진과 의료 서비스 혁신에 앞장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