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그린인프라계획 연구실
환경생태공학부 이정아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생태그린인프라계획연구실은 도시와 농촌 환경에서의 지속가능성과 회복력 증진을 목표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그린 인프라 계획, 도시 생태계 서비스 증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농촌 환경의 지속가능성 진단 등 환경계획 및 조경 분야의 융합적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는 도시 및 농촌의 그린 인프라 네트워크 구축, 미세먼지 저감 및 도시 열섬현상 완화, 홍수 및 재난 대응을 위한 공간계획, 그리고 사회-생태 시스템의 회복력 향상입니다. 이를 위해 텍스트 마이닝, 시스템 다이내믹스, GIS 네트워크 분석, ENVI-met, DesignBuilder, InVEST 등 첨단 시뮬레이션 및 평가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민 참여와 사회적 가치 평가를 통해 지역 맞춤형 그린 인프라 전략을 수립하며, 사회적 수용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및 복원 전략 분야에서는 하천 및 습지의 생태적 건강성 진단, 오염원 분석, 수질 회복력 평가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머신러닝 기법과 공간적 분포 예측 모델링을 통해 하천 및 습지의 훼손 원인과 회복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정책적·공학적 복원 방안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강우, 홍수, 오염 등 다양한 환경 리스크에 대응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며, 지속가능한 수환경 관리와 지역사회 회복력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헬스케어 식물 생산단지 및 농촌 환경의 지속가능성 평가 연구를 통해 농업, 환경, 건강이 융합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설계, 운영 우선순위 도출, 이용자 인식 분석, 경관 성과 평가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온라인 지속가능성 평가 도구와 이해관계자 의견을 반영한 맞춤형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농촌 지역의 삶의 질, 거주성, 환경 서비스 개선, 지역경제 활성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생태그린인프라계획연구실의 연구는 국내외 다양한 도시와 농촌 지역에서 실증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정책 입안자와 실무자들에게 실질적인 의사결정 지원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지속가능한 환경 조성과 사회-생태 시스템의 회복력 증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환경계획, 조경, 생태공학 등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미래 환경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사회 실현에 앞장설 것입니다.
Sustainable Marine Tourism
Eco-friendly Landscape Design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그린 인프라 계획 및 도시 생태계 회복력 증진
그린 인프라 계획은 도시와 농촌 환경에서 생태계 서비스의 증진과 사회-생태 시스템의 회복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핵심 연구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은 도시화와 기후변화로 인한 다양한 환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그린 인프라의 공간적 배치, 네트워크 구축, 그리고 복합적인 생태적·사회적 기능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계획 방법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세먼지 저감, 도시 열섬현상 완화, 홍수 및 재난 대응 등 도시 환경의 주요 이슈에 대응하는 그린 인프라의 역할을 강조하며, 텍스트 마이닝, 시스템 다이내믹스, GIS 네트워크 분석 등 다양한 첨단 기법을 활용하여 실질적인 정책 및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도시와 농촌의 다양한 공간 유형에서 그린 인프라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실은 ENVI-met, DesignBuilder, InVEST 등 시뮬레이션 및 평가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이를 통해 식생, 알베도, 녹지 패치와 코리도 등 다양한 요소의 미기후 조절, 에너지 절감, 생태계 서비스 가치 증진 효과를 분석하고, 실제 적용 가능한 최적의 계획 시나리오를 도출합니다. 또한, 주민 참여와 사회적 가치 평가를 통해 지역 맞춤형 그린 인프라 전략을 수립하며, 사회적 수용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 및 농촌의 환경 질 개선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적응과 탄소중립 실현, 건강한 생활환경 조성 등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그린 인프라 계획 연구는 국내외 다양한 도시와 농촌 지역에서 실증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정책 입안자와 실무자들에게 실질적인 의사결정 지원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지속가능한 환경 조성과 사회-생태 시스템의 회복력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및 복원 전략
수생태계의 건강성 평가는 하천, 습지, 농촌 수변마을 등 다양한 수환경에서 생태계 서비스의 유지와 회복을 위한 핵심 연구 주제입니다. 본 연구실은 하천 및 습지의 생태적 건강성 진단, 오염원 분석, 수질 회복력 평가 등 다양한 수생태계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역 환경 변화, 기후변화, 도시화 등 복합적인 스트레스 요인에 대응하기 위한 진단체계 구축과 맞춤형 복원 전략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위해 생물학적 지표(BOD, TN, TP 등), 수질 모니터링, 랜덤포레스트 등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공간적 분포 및 회복력 예측 모델링 등을 적용합니다. 또한, 국내외 다양한 사례 연구를 통해 하천 및 습지의 훼손 원인과 회복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정책적·공학적 복원 방안을 제시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생태계 서비스 가치 평가, 사회적 가치 분석, 이해관계자 참여 기반의 복원 전략 수립 등 통합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및 복원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강우, 홍수, 오염 등 다양한 환경 리스크에 대응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며, 지속가능한 수환경 관리와 지역사회 회복력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연구 결과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수생태계 복원 정책, 환경영향평가, 생태관광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헬스케어 식물 생산단지 및 농촌 환경의 지속가능성 평가
헬스케어 식물 생산단지와 농촌 환경의 지속가능성 평가는 최근 농업과 환경, 건강이 융합되는 새로운 연구 분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헬스케어 식물 생산단지의 친환경 설계, 운영 우선순위 도출, 이용자 인식 분석, 경관 성과 평가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AHP, IPA,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등 다양한 정량적·정성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농촌 지역의 삶의 질, 거주성, 환경 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온라인 지속가능성 평가 도구(LPI, SAFA, FSRT, FSA 등)를 적용하여 묘목 생산단지 및 농촌 환경의 지속가능성 문제를 진단하고,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도출합니다. 또한, 이해관계자(전문가, 운영자, 이용자 등)의 의견을 반영한 맞춤형 설계 전략을 개발하며, 친환경 프로그램, 편의시설, 체험 콘텐츠 등 다양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합니다. 이를 통해 농촌 지역의 고령화, 인구감소, 경제활동 저하 등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원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농촌 환경의 생태적·사회적 회복력 증진, 건강한 생활환경 조성, 지역경제 활성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헬스케어 식물 생산단지 및 농촌 환경 지속가능성 연구는 농촌진흥청, 환경부 등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정책 및 사업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1
Evaluating the Cooling Effects and Building Energy-Saving Potential of Vegetation and Albedo: A Case Study of Gyeonggi-Do, South Korea
Yuedong Wang, Yuhan Zhang, Younkeun Song, Junga Lee, Guanlin Li, Zipeng Song, Zhicheng Zhou, Junxue Zhang, Jiacong Xu, Jingang Li, Yingnan Li
Buildings, 2025
2
A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approach for enhanced flood control and resilience in urban areas
MD Rakesur Rahman, Sujeong Kang, Sangchul Lee, Junga Lee
Land Use Policy, 2025
3
Applicability of Online Sustainability Tools for Landscape Performance Assessment in South Korean Nursery Farm Complexes
Rahman MD Rakesur, Song Jihoon, An Kyungjin, Choi Yun Eui, Lee Junga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024
1
Green infrastructure spatial planning considering ecosystem services assessment and trade-off analysis through Exploring social-ecological system resilience
2
Research on Waste Reduction in Tourism for Sustainable Marine Tourism
3
Pre-planning and feasibilit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disaster prevention green SOC in Siheung Val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