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Kyung Hee University

경희대학교 치의학과

홍성진 교수

Digital Dentistry

Intraoral Scanning

Dental Implants

Kyung Hee University

치의학과 홍성진

경희대학교 치의학과 연구실은 디지털 치의학과 임플란트 보철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CAD/CAM, 3D 프린팅, 디지털 스캐닝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임상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치과 보철물의 정밀도와 적합도를 극대화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를 실현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임플란트 보철, 크라운, 브릿지, 의치 등 다양한 보철물의 설계와 제작, 그리고 임플란트 수술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디지털 임플란트 플래닝 및 가상 교합기 활용 등 전 과정의 디지털화를 통해 치료의 예측 가능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본 연구실은 임플란트 보철물의 기계적 합병증 분석, 유지관리, 장기적 성공률에 관한 임상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임상 증례를 바탕으로 환자별 맞춤 치료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디지털 워크플로우 기반의 임상 적용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최소침습 보철수복,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 안면 스캔 및 3차원 진단 분석 등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스마트 의치 및 구강 건강 모니터링 기술 개발도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 중 하나입니다. 펨토초 레이저 기반의 초박형 온도 센서를 의치에 내장하여, 구강 내에서 실시간으로 체온을 측정하고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의치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비침습적이고 비대면 의료 서비스와 연계할 수 있어, 고령층 및 만성질환자의 건강 관리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며, 최신 연구 성과를 학계와 임상 현장에 공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특허 출원 및 산학협력, 학술대회 발표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통해 연구 결과의 실용화와 사회적 확산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활동을 통해 본 연구실은 미래 치의학의 발전과 국민 구강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Digital Dentistry
Intraoral Scanning
Dental Implants
디지털 치과 보철 및 임플란트 기술
본 연구실은 디지털 치의학 기술을 활용한 치과 보철 및 임플란트 치료의 혁신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최근 CAD/CAM 시스템, 3D 프린팅, 디지털 스캐닝 등 첨단 기술의 도입으로 치과 보철물의 제작 과정이 크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임플란트 보철물, 크라운, 브릿지, 의치 등 다양한 보철물의 정밀도와 적합도를 높이고, 환자 맞춤형 치료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임플란트 수술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디지털 임플란트 플래닝, 서지컬 가이드 제작, 가상 교합기 및 안면 스캔 데이터의 통합 등 진단부터 치료, 보철물 제작까지 전 과정을 디지털화하는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치료의 예측 가능성과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내원 횟수와 치료 기간을 단축하는 혁신적인 임상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임상 증례 연구와 임플란트 보철물의 기계적 합병증, 유지관리, 장기적 성공률에 관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임상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문제 해결과 더불어, 미래 치의학의 표준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의치 및 고령자 구강 건강 모니터링
연구실은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스마트 의치 개발과 구강 건강 모니터링 기술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펨토초 레이저 기반의 초박형 온도 센서를 의치에 내장하여, 구강 내에서 실시간으로 체온을 측정하고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의치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기존 의치의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센서를 통합하여 장기간 착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비침습적이고 비대면 의료 서비스와 연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스마트 의치는 고령층 및 독거노인의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만성질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실시간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통해 건강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고, 원격 진료 및 맞춤형 건강 관리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연구실은 이러한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의 임상 적용 가능성과 장기적 안정성, 생체 적합성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치과 보철물에 다양한 센서와 회로를 집적하는 기술, 에너지 저장 장치의 통합, 데이터 무선 전송 등 차세대 스마트 덴탈 디바이스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초고령 사회에서의 건강 관리 패러다임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1
A digital workflow for implants in the esthetic zone: A clinical report from dentofacial diagnosis to cast-free prosthesis delivery with a 1-year follow up
Park, C. Y., Hong, S. J., Kwon, K. R., Noh, K.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2025
2
Fast and precise tongue pressure measurement by intraoral laser-induced graphene pressure sensor for elderly healthcare
Kim, H., Nam, H. K., Jing, T., Yang, D., Lee, Y., Chae, Y. K., Hong, S., Kang, S. W., Kim, Y. J.
Virtual and Physical Prototyping., 2025
3
Influence of template design on the accuracy of static computer-assisted implant surgery
Chung, J., Park, J., Son, H., Hong, S. J., Pae, A.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2025
1
[생애첫,1/2]가상교합기의 악운동 양상의 분석과 한국인의 악운동 양상 비교 연구
(통합)한국연구재단
2022년 09월 ~ 2024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