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양정석 연구실

국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부

양정석 교수

양정석 연구실

건설시스템공학부 양정석

양정석 연구실은 건설시스템공학부 소속으로, 수리학, 수력학, 수자원공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지하수와 지표수의 상호작용, 수문 순환의 건전성 평가, 그리고 기후변화와 도시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 분석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지하수와 지표수의 통합적 관리 방안 개발에 중점을 두고, 수치모델링, 인공지능 기법, 위성 및 현장 관측 자료를 활용한 정밀 분석을 통해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홍수 등 극한 수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홍수방어시설의 초연결 최적운영기술, 생태수문순환 건전성 평가 기법, 그리고 지역 맞춤형 지하수자원 최적 운영 및 관리 기술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가적 재난 대응 역량 강화와 더불어, 지역사회 물 문제 해결에도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해수침투 및 해수담수화 분야에서도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해수면 상승과 해안지역의 지하수 오염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SEAWAT, MODFLOW 등 첨단 수치모델을 활용한 해수침투 영향 평가와 저감 대책 개발, 그리고 해수담수화 플랜트의 기술성 및 경제성 분석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다기준 의사결정 기법을 통해 지역 특성에 맞는 최적의 해수침투 저감 방안을 제시하고, 실제 현장 적용을 위한 실험 및 시범사업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본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학술대회와 협력 연구를 통해 최신 연구 동향을 반영하고, 실질적인 사회적·산업적 파급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위성 데이터, 인공지능, GIS 등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연구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와 미래 물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양정석 연구실은 수리학 및 수자원공학 분야에서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것이며, 국가와 지역사회의 물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연구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지하수와 지표수의 연계 및 통합 관리
지하수와 지표수의 연계 및 통합 관리는 현대 수자원 공학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국내외 다양한 유역을 대상으로 지하수와 지표수의 상호작용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한 수문 순환의 변화가 지하수와 지표수의 연계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며, 다양한 수치모형과 실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지하수와 지표수의 통합 관리는 단순히 두 자원의 양적 관리에 그치지 않고, 수질, 생태계, 사회경제적 요소까지 포괄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예를 들어, 하천 유역의 기저유출 분석, 강우와 지하수위의 상관관계 평가, 그리고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면적 증가가 수문 순환에 미치는 영향 등을 다각도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LSTM 등 인공지능 기법을 도입하여 미래 지하수위 예측과 취약 시기 평가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물 부족, 가뭄, 홍수 등 다양한 수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과학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합니다. 더불어, 지역 맞춤형 수자원 관리 정책 수립과 지속가능한 물 이용 전략 개발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지하수와 지표수의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방안 개발을 통해 국가 및 지역 사회의 물 문제 해결에 이바지할 것입니다.
해수침투 및 해수담수화 기술 개발
해수침투는 해안지역의 지하수 자원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본 연구실은 해수면 상승과 기후변화에 대응한 해수침투 평가 및 저감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SEAWAT, MODFLOW 등 첨단 수치모델을 활용하여 해수침투의 공간적·시간적 분포를 분석하고, 다양한 완화 대책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합니다. 최근에는 다기준 의사결정 기법(MCDM)을 접목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해수침투 저감 방안의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해수침투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는 단순히 이론적 분석에 그치지 않고, 실제 현장 적용을 위한 실험 및 시범사업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공함양, 투수성 포장재, 지하댐 등 다양한 공학적 대책의 효과를 실험실 및 현장에서 검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화된 관리 방안을 제시합니다. 또한, 해수담수화 플랜트의 기술성과 경제성 평가, 특허 동향 분석, 해외 시장 진출 전략 등 해수담수화 산업 전반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해안지역의 안정적인 물 공급과 수자원 확보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며,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과 물 부족 문제에 대한 국가적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해수침투 및 해수담수화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지속하여, 지속가능한 해안 수자원 관리와 미래 물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1
GALDIT Modification for Seasonal Seawater Intrusion Mapping Using Multi 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s
양정석
Water, 202207
2
Comparative study of groundwater vulnerability to contamination assessment methods applied to the southern coastal sedimentary basin of Benin
양정석
Journal of Hydrology-Regional Studies, 202103
3
Prioritizing countermeasures for reducing seawater-intrusion area by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using SEAWAT and a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method
양정석
HYDROLOGICAL PROCESSES, 201809
1
이상홍수 대응을 위한 홍수방어시설 초연결 최적운영기술 개발 (3차년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24년 ~ 2024년 12월
2
전국 유역 생태수문순환 건전성 평가 기법 개발 및 적용(3/3)
한국연구재단
2023년 03월 ~ 2024년 08월
3
이상홍수 대응을 위한 홍수방어시설 초연결 최적운영기술 개발 (2차년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23년 ~ 2023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