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김미영 연구실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김미영 교수

김미영 연구실은 재료공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원자·전자 구조 분석 및 나노구조 재료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첨단 투과전자현미경(TEM), 전자 에너지 손실 분광법(EELS), 4D-STEM, 머신러닝 기반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최첨단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재료의 미세구조와 전자 구조를 원자 단위에서 정밀하게 규명합니다. 이를 통해 2차원 소재, 전이금속 산화물, 금속, 반도체, 나노입자 등 다양한 첨단 재료의 결함, 계면, 도메인, 나노구조체 등 미세구조 특성과 그에 따른 물성 변화를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본 연구실은 차세대 이차전지(리튬이온, 나트륨이온 등) 및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멤리스터, ReRAM 등)에 적용되는 나노구조 재료의 합성, 구조 분석, 동작 메커니즘 규명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실시간(in-situ) TEM 분석, 전자현미경 기반 전기적 측정, 동적 전자분광법 등을 활용하여, 충·방전 과정에서의 구조 변화, 계면 반응, 도전 필라멘트 형성 등 실제 구동 환경에서의 소재 거동을 원자 단위에서 직접 관찰하고, 전기화학적 성능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다중모달 복셀 투과전자현미경, 4D-STEM 기반 전자 회절 및 위상 분석, EELS 토모그래피,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분류 등 혁신적 분석법을 개발하여, 재료의 잠재적 특성을 다각적으로 입체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성능 반도체, 이차전지, 촉매, 광전자소자, 스핀트로닉스 등 다양한 첨단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고기능성 재료의 설계와 최적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실시간 전압-전류 측정, 극저온 환경, 고온·고압 등 다양한 조건에서의 동적 구조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실제 구동 환경에서의 재료 신뢰성, 내구성, 효율성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더불어, 다양한 국가 및 산업체와의 협력 연구, 대형 국책과제 수행, 국제 학술대회 발표 등 활발한 학술 및 산학협력 활동을 통해, 재료공학 분야의 학문적·산업적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김미영 연구실은 첨단 분석기술과 융합적 연구를 바탕으로, 미래 신소재 개발과 차세대 에너지·전자소자 혁신을 선도하는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