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광대학교 의학과 김남호 교수
김남호 연구실은 심혈관 질환의 진단, 치료 및 예방을 선도하는 연구실로,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부정맥 등 다양한 심장 질환을 중심으로 폭넓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최신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심혈관 질환의 위험 인자 분석, 조기 진단법 개발, 그리고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심초음파, 심전도, 혈관 초음파 등 다양한 진단 장비와 이미징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연구실은 고용량 스타틴 요법,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등 약물 치료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임상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에서의 스타틴 전처치 효과, 부정맥 환자에서의 항응고요법, 그리고 심근경색 환자에서의 혈관 재관류 치료 등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의 치료 최적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심장 스텐트 시술 후 재협착 예방, 심부전 환자에서의 약물 병용요법 등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심혈관 질환과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대사질환 간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에서의 심근경색 및 뇌졸중 조기 증상 인지도, 고혈압 환자에서의 심장 전기적 안정성 변화, 혈중 지질 농도와 관상동맥 반응성 등 다양한 임상 연구를 통해 대사질환이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위험군 환자에서의 맞춤형 예방 전략과 조기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부정맥, 특히 심방세동, 심실성 부정맥, 돌연심장사와 관련된 임상 및 기초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심방세동 환자에서의 항응고요법 최적화, 돌연심장사 위험 예측 및 예방 전략, 그리고 심박동기 및 삽입형 제세동기(ICD) 적용 기준 등에 대한 연구가 대표적입니다. 대규모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심전도 이상 소견의 유병률 조사, 유전적 요인 및 분자생물학적 기전 규명 등 폭넓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환자의 예후 개선과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학회 및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며, 심혈관 질환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최신 의학 지식과 기술을 접목하여 심혈관 질환의 진단 및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