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ulsuyang
의약생명과학과 양철수
양철수 교수 연구실은 감염 생물학과 분자-세포 면역학을 융합하여, 감염성 및 염증성 질환의 병태생리 기전 규명과 혁신적 치료제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 다양한 병원체가 인체 내에서 유발하는 면역 반응을 분자 수준에서 분석하며, 대식세포, T세포 등 면역세포의 기능 변화와 신호 전달 경로를 정밀하게 추적합니다. 이를 통해 감염 및 염증 질환의 발병과 진행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해석하고, 질환 특이적 바이오마커와 치료 표적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특히, 본 연구실은 병원성 미생물 유래 펩타이드,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TMD) 나노시트, 인공 항체, 표적 리포솜 등 첨단 바이오소재를 활용한 차세대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바이오소재는 기존 항생제 내성 문제를 극복하고, 산화스트레스 기반 염증 질환의 치료에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합니다. 또한, 표적 약물 전달 시스템을 통해 암세포 또는 염증 부위에 약물을 선택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치료 효율을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정밀의료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대표 연구 분야로는 결핵, 대장염, 패혈증, 류마티스 관절염 등 다양한 감염 및 염증성 질환의 분자 기전 규명과 치료제 개발이 있습니다. 단일세포 RNA 시퀀싱, 유전체 분석, 단백질 상호작용 연구 등 첨단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적극 활용하여, 질환 특이적 면역세포의 기능 변화와 신호 전달 경로를 정밀하게 해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치료 표적을 제시하고, 실제 동물모델 및 임상 전 단계에서 그 효과를 검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다수의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 산학협력 연구를 통해 연구성과를 실용화하고 있습니다. 혁신적 치료제 개발뿐만 아니라, 감염 및 염증 질환의 진단,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바이오소재와 면역학적 지식을 융합하여, 감염 및 염증성 질환의 치료 패러다임을 선도하는 연구를 지속할 것입니다.
이와 같은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양철수 교수 연구실은 국내외 학술대회, 특허, 논문, 산학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으며, 차세대 감염 및 염증 질환 치료제 개발의 중심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혁신적 연구와 실용화 성과를 통해,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Ulcerative Colitis
Single-cell RNA-seq
Host-Directed Therapy
감염 생물학 및 분자-세포 면역학 기반 치료제 개발
우리 연구실은 감염 생물학과 분자-세포 면역학을 융합하여 감염성 및 염증성 질환의 병태생리 기전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혁신적인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 다양한 병원체가 인체 내에서 어떻게 면역 반응을 유발하고, 이 과정에서 대식세포, T세포 등 면역세포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분자 수준에서 분석합니다. 특히, 병원성 미생물의 병원성 인자와 숙주 면역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규명하여, 질병의 발병 및 진행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감염 및 염증 질환의 주요 원인인 병원성 미생물의 병태생리적 특성과 면역 반응의 조절 메커니즘을 체계적으로 해석합니다. 단일세포 RNA 시퀀싱, 유전체 분석, 단백질 상호작용 연구 등 첨단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질환 특이적 면역세포의 기능 변화와 신호 전달 경로를 정밀하게 추적합니다. 또한, 대식세포 극성화, 인플라마좀 활성화, 산화스트레스 조절 등 다양한 면역 조절 인자들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질환의 중증도와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발굴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기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치료 표적을 제시하고, 병원성 인자 또는 면역 조절 인자를 기반으로 한 혁신적 치료제(펩타이드, 나노소재, 항체 등)를 개발합니다. 실제로 본 연구실은 결핵, 대장염, 패혈증, 류마티스 관절염 등 다양한 감염 및 염증성 질환에 적용 가능한 치료 후보물질을 다수 발굴하였으며, 동물모델 및 임상 전 단계에서 그 효과를 검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감염 및 염증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혁신적 바이오소재 및 펩타이드 기반 치료 전략
본 연구실은 병원성 미생물 유래 펩타이드,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TMD) 나노시트, 인공 항체, 표적 리포솜 등 다양한 바이오소재를 활용한 차세대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병원체 유래 펩타이드는 숙주 면역 단백질과의 특이적 상호작용을 통해 염증 반응을 조절하거나, 세균 및 바이러스의 생존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한 펩타이드 치료제는 기존 항생제 내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또한, TMD 나노시트와 같은 첨단 나노소재를 이용하여 활성산소종(ROS) 및 활성질소종(RNS)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패혈증, 화상, 류마티스 관절염 등 산화스트레스 기반 염증 질환의 치료에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인공 항체 및 표적 리포솜 시스템을 활용하여, 암세포 또는 염증 부위에 약물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정밀 치료 기술도 개발 중입니다. 이러한 바이오소재는 높은 생체적합성과 특이성을 바탕으로,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적 치료 전략은 동물모델 및 임상 전 단계에서 그 효능과 안전성이 입증되고 있으며, 다수의 특허 및 기술이전, 산학협력 연구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대장암, 결핵, 대장염, 패혈증 등 다양한 질환에 적용 가능한 맞춤형 치료제 개발을 통해, 환자 맞춤형 정밀의료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바이오소재와 면역학적 지식을 융합하여, 감염 및 염증성 질환의 치료 패러다임을 선도하는 연구를 지속할 것입니다.
1
Functional Nanosheet Immunoswitches Reprogramming Macrophages for Treatment of Colorectal Cancer and Sepsis
So Y, Yim D, Kim HK, Lee S, Lee H, Yu Y, Choi C, Choi Y, Yang CS*, Kim JH* (*contributed equally)
ACS Nano, 2025.02
2
Live Malassezia strains isolated from the mucosa of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Cho YJ, Shin SY, Yang J, Kim HK, Rintarhat P, Park M, Lagree K, Underhill DM, Choi CH, Yang CS*, Jung WH* (*contributed equally)
mBio, 2025.07
3
Exploring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Phytochemicals: Challenges and Strategies for Clinical Translation
Kim HK, Kim SJ, Gil WJ, Yang CS*
Phytomedicine, 2025
1
톡소포자충 항원 기반 숙주 면역 조절 기전 분석 및 치료적 응용
2
나노인공지능 융합기술 기반 NLRP3 염증질환 면역제어 연구실
3
항균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세포벽 표적 NTM 치료 후보물질 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