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고인준 연구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고인준 교수

고인준 연구실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고인준

고인준 연구실은 슬관절(무릎관절)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정형외과 전문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슬관절 전치환술, 인대 재건술, 연골 및 연부조직 치료, 그리고 수술 후 통증 관리 및 재활 등 슬관절과 관련된 다양한 임상 및 기초 연구를 폭넓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슬관절의 해부학적·생역학적 특성에 대한 정밀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환자 맞춤형 수술 전략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슬관절 전치환술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수술 기법 및 삽입물 디자인의 비교 연구, 인대 및 연부조직의 기능적 역할 규명, 그리고 환자별 맞춤형 수술 도구 및 3D 프린팅 기술 적용 등 첨단 의료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신체 실험, 컴퓨터 시뮬레이션, 임상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슬관절 수술의 정확도와 안전성을 높이고, 장기적으로는 인공관절의 수명 연장과 재수술률 감소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본 연구실은 슬관절 주변 인대(전방십자인대, 후방십자인대, 내측·외측측부인대, 전외측인대 등)의 손상 및 재건술, 연골 결손 치료, 고위 경골 절골술(HTO), 부분 및 전치환술 등 다양한 슬관절 질환에 대한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최신 영상기법과 생체역학적 측정 장비를 활용하여 미세한 조직 변화까지 정밀하게 평가하며, 이를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슬관절 수술 후 통증 관리, 재활, 환자 만족도 및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임상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약물치료, 신경차단술, 다중 모달 진통 프로토콜의 효과와 안전성, 그리고 중추 감작 환자에서의 통증 조절 및 합병증 예방 등 환자 중심의 임상 결과를 중점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의 빠른 일상 복귀와 장기적 기능 유지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고인준 연구실은 국내외 학술대회 및 협력 연구를 통해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다기관 임상시험 및 대규모 데이터 분석을 통해 근거 중심의 진료지침 마련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슬관절 분야의 혁신적인 연구와 임상 적용을 통해 환자 치료의 질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합니다.

슬관절 전치환술의 생역학적 최적화와 환자 맞춤형 수술 전략
슬관절 전치환술(TKA)은 무릎 관절의 퇴행성 질환이나 외상 등으로 인해 손상된 관절을 인공 삽입물로 대체하는 수술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슬관절 전치환술의 성공률을 높이고 환자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생역학적 분석과 임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계적 정렬(Mechanical Alignment)과 운동학적 정렬(Kinematic Alignment) 방식의 비교, 인대 긴장도 및 관절선 복원, 삽입물 디자인의 차이가 실제 환자 무릎의 운동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시신체 실험, 컴퓨터 시뮬레이션, 임상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진행됩니다. 예를 들어, 인대의 긴장도 조절이 무릎의 회전 및 롤백 현상에 미치는 영향, 삽입물의 종류(고정형, 이동형, 후방 안정형 등)에 따른 관절의 운동학적 특성, 그리고 환자 맞춤형 수술 도구 및 3D 프린팅 기술을 통한 수술 정확도 향상 방안 등이 주요 연구 주제입니다. 또한, 수술 후 환자의 기능 회복, 통증, 만족도, 합병증 발생률 등 다양한 임상 지표를 체계적으로 추적·분석하여 실제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본 연구실은 슬관절 전치환술의 표준화된 수술 프로토콜 개발,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인공관절의 수명 연장과 재수술률 감소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나아가, 최신 영상기술과 인공지능 기반 분석을 접목하여 수술 전후 예후 예측 및 환자별 최적 치료법 제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슬관절 주변 연부조직 및 인대의 기능적 역할과 재건술
슬관절의 안정성과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인대와 연부조직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본 연구실은 전방십자인대(ACL), 후방십자인대(PCL), 내측측부인대(MCL), 외측측부인대(LCL), 그리고 최근 주목받는 전외측인대(ALL) 등 슬관절을 구성하는 주요 인대들의 해부학적, 생역학적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인대 손상 시 무릎의 불안정성, 관절 운동 범위, 회전 및 전후방 이동성 변화 등을 시신체 실험 및 임상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대 재건술의 수술 기법 개발 및 최적화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중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ALL 재건술, 내측 및 외측 인대 복합 손상에 대한 복합 재건술, 그리고 만성 불안정성 환자를 위한 맞춤형 수술법 등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또한, 인대 재건술 후 관절의 생역학적 회복 정도, 환자 보고 결과(PROMs), 재손상률, 합병증 발생률 등을 장기적으로 추적하여 수술 기법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검증합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실은 슬관절 연부조직의 미세손상, 인대 이완, 연골 손상 등 다양한 병변에 대한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최신 영상기법(MRI, 초음파 등)과 생체역학적 측정 장비를 활용하여 미세한 조직 변화까지 정밀하게 평가하며, 이를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슬관절 손상 환자의 기능 회복과 삶의 질 향상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슬관절 수술 후 통증 관리 및 재활, 환자 중심 임상결과 연구
슬관절 수술 후 효과적인 통증 관리와 빠른 재활은 환자의 만족도와 장기적인 기능 회복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약물치료(예: 트라넥사믹산, 덜록세틴, 페릭 카르복시말토스 등), 신경차단술(대퇴신경, 내전근관 차단 등), 국소 주사요법, 그리고 다중 모달 진통 프로토콜의 효과와 안전성을 임상시험을 통해 체계적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술 후 빈혈, 출혈, 창상 합병증, 혈전증 등 부작용 예방 및 관리 방안도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환자 보고 결과(PROMs), 삶의 질(QOL), 기능적 회복, 만족도 등 환자 중심의 임상 지표를 장기적으로 추적하여,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최적의 통증 관리 및 재활 전략을 제시합니다. 특히, 중추 감작(central sensitization) 환자에서의 통증 조절, 창상 합병증 위험성, 수술 후 기대치와 만족도의 상관관계 등 다양한 임상적 이슈에 대한 심층 연구를 통해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슬관절 수술 환자의 빠른 일상 복귀, 합병증 최소화, 장기적 기능 유지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최신 임상시험 설계와 다기관 연구, 대규모 데이터 분석을 통해 근거 중심의 진료지침 마련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1
Comparison of postoperative blood loss in cementless and cemented total knee arthroplasty: a systematic review
박석재, 고인준, 김용덕, 조이진, 손수인, 유황용
ARCHIVES OF ORTHOPAEDIC AND TRAUMA SURGERY, 202512
2
Kinematical alignment better restores native patellar tracking pattern than mechanical alignment
김용덕, 임도형, 곽대순, Nicole Cho, 고인준
KNEE SURGERY SPORTS TRAUMATOLOGY ARTHROSCOPY, 202412
3
Postoperative Hemodynamics of Total Knee Arthroplasty Unaffected by Cementless Approach under Contemporary Patient Blood Management Protocol: A Propensity Score-Matched Study
최근영, 김용덕, Nicole Cho, 김만수, 인용, 유황용, 고인준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202311
1
하지의 내반 변형이 정상 및 무릎 관절 치환술 후 생역학에 미치는 영향 ? 시신 실험 연구
한국연구재단(NRF)
2019년 06월 ~ 2021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