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재생에너지 정책 및 경제성 분석
본 연구실은 재생에너지 정책의 설계와 경제성 분석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태양광, 풍력, 수소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도입과 확산을 위한 정책적 유인책, 제도적 개선방안, 그리고 투자 및 위험관리 전략을 심도 있게 연구합니다. 특히, 정부의 보조금 정책, 감가상각법, 전력요금 체계, 그리고 시장 기반의 인센티브가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합니다. 연구실은 HOMER, SAM 등 에너지 시스템 시뮬레이션 도구를 활용하여 실제 사례 기반의 경제성 평가를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도서지역 마이크로그리드, 자가소비 태양광, 플로팅 태양광, 에너지저장장치(ESS) 연계형 시스템 등 다양한 모델을 시뮬레이션하여 최적의 투자 전략과 운영 방안을 도출합니다. 또한, 실물옵션 모형,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등 금융공학적 기법을 적용하여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불확실성과 위험을 정량적으로 평가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에너지 정책 수립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며, 신흥국의 에너지 시장 진출, RE100 이행, 그린수쿠크 등 녹색금융 도입, 그리고 에너지 안보와 지속가능성 확보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재생에너지의 경제적, 정책적 확산을 위한 실증적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2
에너지 시스템 통합 및 신기술 적용
본 연구실은 태양광, 풍력, 수소, 연료전지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통합한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의 설계와 최적화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도서지역이나 신흥국 등 전력 인프라가 취약한 지역에서의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재생에너지의 연계, 그리고 수소 기반 복합발전 시스템의 운영성과 분석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리콘 태양전지, PERC, CIGS 등 고효율 태양광 모듈의 소재 및 공정 최적화, 플라즈마 기반 CCU/CCUS 기술, 유체누수감지센서 등 첨단 에너지 및 환경기술의 실용화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시스템의 신뢰성, 효율성, 환경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기술적·경제적·사회적 편익이 극대화되는 통합 솔루션을 제안합니다. 이러한 통합적 접근은 에너지 전환 시대에 필수적인 기술 융합 역량을 강화하며,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안보, 지역사회 편익 증진 등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합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신기술의 현장 적용과 실증, 그리고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3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환경 정책 융합
본 연구실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환경 정책의 융합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탄소중립, RE100, CCUS 등 글로벌 기후정책 트렌드에 맞춘 정책 설계와 사회적 수용성, 대중의 인식 변화, 그리고 정책 효과성 평가를 다각적으로 수행합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확대, 에너지 안보, 온실가스 감축, 플라스틱 폐기물 관리 등 다양한 환경 이슈를 통합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에너지·환경 정책 사례 분석, 정책 우선순위 선정(AHP 등), 이해관계자 분석, 그리고 정책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효성 있는 정책 대안을 제시합니다. 또한, 신흥국의 에너지 전환, 그린 모빌리티, 에코시티 구축 등 글로벌 이슈에 대응하는 정책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정부, 공공기관, 산업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정책 변화와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에너지와 환경을 아우르는 융합적 정책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 구현에 앞장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