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과학기술원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이창수 교수
ABLE 연구실은 유기성 폐기물 및 폐수의 자원화와 에너지화, 그리고 환경오염 저감을 위한 혁신적 바이오공정 및 환경생명공학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혐기성 소화, 바이오전기화학 시스템, 미생물 군집 제어 등 다양한 생물공정 기술을 융합하여, 폐기물로부터 바이오가스(메탄, 수소 등)와 같은 청정에너지를 생산하고, 동시에 환경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도성 입상슬러지 및 마그네타이트 등 첨가제를 활용한 종간 직접전자전달(DIET) 촉진, 전기화학적 보조공정, 미생물 전해전지(MEC) 및 미생물 연료전지(MFC) 등 다양한 바이오전기화학 시스템을 접목하여 바이오가스화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머신러닝 기반의 공정 예측 및 최적화, 미생물 군집의 생태 및 기능 분석 등 첨단 융합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공정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바이오 기반 소재(생분해성 플라스틱, 미생물 단백질 등) 생산, 미세조류 및 미생물 군집을 이용한 영양염류(질소, 인 등) 회수 및 자원화, 아나목스(anammox) 기반 질소 제거, 전기화학적 영양염류 회수 등 다양한 자원순환형 기술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폐수 및 폐기물 내 유용 자원을 고부가가치 소재 및 비료로 전환하는 바이오리파이너리 개념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실험실 연구를 넘어 파일럿 및 현장 적용, 산업체 및 지자체와의 협력, 특허 및 기술이전 등 실질적인 사회적·산업적 기여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내외 연구과제와 산학협력, 국제학회 발표 및 논문 게재, 특허 출원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통해 환경공학 및 바이오에너지 분야의 선도적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ABLE 연구실은 기후변화 대응, 자원순환, 에너지 전환 등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혁신적 환경생명공학 기술 개발에 매진할 것이며, 지속가능한 미래사회를 위한 핵심 솔루션을 제시하는 데 앞장설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