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용 연구실
바이오환경과학과 이상용
이상용 연구실은 바이오환경과학 분야에서 축산시설의 환경 제어, 악취 저감, 미세플라스틱 및 다양한 오염물질의 환경 내 거동 분석 등 다양한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융합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축산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 미세먼지, 암모니아 등 환경오염 물질의 발생 원인과 전환 기작을 규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가축분뇨의 퇴비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2차 미세먼지와 악취 저감 기술, 바이오다공성물질 및 미생물 기질을 활용한 환경 제어 시스템 개발 등은 연구실의 핵심 연구 분야입니다.
또한, 연구실은 담수 수계에서 미세플라스틱의 복합환경 거동 예측 모델 개발을 통해 미세플라스틱의 이동, 축적, 생태계 영향 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미세플라스틱이 하천, 호수, 토양, 식물, 어류 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규명하며, 오염물질의 특성화 및 제거 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중금속, 항생제 잔류물,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 다양한 환경오염 물질의 거동과 생물학적, 화학적 영향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환경부, 농촌진흥청, 농림축산식품부 등 다양한 정부 기관과의 협력 연구를 통해 현장 적용이 가능한 실용적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환경조건과 연동된 데이터베이스 구축, 예측 모델 개발, 현장 실증 연구 등을 통해 축산업의 지속가능성 제고와 친환경 농업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축산시설 주변의 대기질 개선, 지역사회와의 상생, 생태계 보전 등 사회적 가치 실현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상용 연구실은 앞으로도 축산환경, 미세플라스틱, 오염물질 관리 등 다양한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융합적이고 실용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환경 조성, 농업 및 축산업의 친환경화, 그리고 인류 건강 보호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연구실의 다양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학술지 논문, 정부 과제, 현장 실증 연구 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환경과학 분야의 선도적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혁신적인 연구와 기술 개발을 통해 환경 문제 해결에 앞장설 것입니다.
Freezing Tolerance in Plants
Thermal Decomposition of Excreta
Stable Isotope Ratios
축산시설의 환경 제어 및 악취 저감 기술
축산시설에서 발생하는 환경 문제는 현대 농업에서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특히, 가축분뇨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미세먼지, 암모니아 등은 주변 환경과 인근 주민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본 연구실은 축산시설의 환경 제어를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가축분뇨의 퇴비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2차 미세먼지와 악취 물질의 전환 기작을 규명하고, 이를 억제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바이오다공성물질, 미생물 기질, 그리고 다양한 환경조건과 연동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 돈사 및 양돈장 등 축산시설의 가스 배출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퇴비화 공정별로 발생할 수 있는 미세먼지와 악취의 잠재 발생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운용 기술을 현장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농촌진흥청, 환경부 등 다양한 정부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진행되고 있으며, 실제 축산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 기술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 제어 및 악취 저감 연구는 축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친환경 농업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축산시설 주변의 대기질 개선과 지역사회와의 상생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융합적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미세플라스틱 및 오염물질의 환경 내 거동과 영향 분석
최근 미세플라스틱과 다양한 오염물질이 수계 및 토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담수 수계에서 미세플라스틱의 복합환경 거동 예측 모델 개발을 주요 연구과제로 삼고 있으며, 미세플라스틱의 이동, 축적, 그리고 생태계 내에서의 상호작용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환경부 등과 협력하여 대규모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하천 및 호수의 어류, 식물, 그리고 토양 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고, 미세플라스틱의 특성화, 분포, 제거 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미세플라스틱 외에도 중금속, 항생제 잔류물,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 다양한 오염물질의 환경 내 거동과 생물학적, 화학적 영향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오염물질의 환경 내 이동 경로와 축적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저감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경오염의 예방과 관리, 그리고 생태계 보전 및 인류 건강 보호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미세플라스틱 및 오염물질의 환경 내 거동에 대한 심층 연구를 통해, 보다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입니다.
1
Assessing Ammonia (NH3) Emissions, Precursor Gas (SO2, NOx) Concentrations, and Source Contributions to Atmospheric PM2.5 from a Commercial Manure Composting Facility
이상용
APPLIED SCIENCES-BASEL, 202412
2
Microplastic characterization in small freshwater fishes collected in Gyeongan-cheon, a tributary stream of Han River in South Korea: Ingestion and depuration study of Nylon
이상용
ENVIRONMENTAL POLLUTION, 202412
3
Local and Global Public Health and Emissions from Concentrated Animal Feeding Operations in the USA: A Scoping Review
이상용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2407
1
[2단계]담수 수계에서 미세플라스틱의 복합환경 거동 예측 모델 개발 [2/2][RCMS]
2
[2단계]담수 수계에서 미세플라스틱의 복합환경 거동 예측 모델 개발 [1/2][RCMS]
3
[1단계]담수 수계에서 미세플라스틱의 복합환경 거동 예측 모델 개발 [2/2][RC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