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물리약학연구실

부산대학교 본교(제1캠퍼스) 약학대학

김민수 교수

Drug Delivery System

Drug Delivery Systems

Micronization

V3_minor

물리약학연구실

약학대학 김민수

물리약학연구실은 약물 전달 시스템(DDS), 전처리, 피부 표적 제형, 미분화 및 용해도 향상과 같은 연구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2년에 발표한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페노피브레이트 미분화'와 '즉시 방출 에보글립틴 타르트레이트의 활성 코팅' 등의 논문은 이 연구실의 뛰어난 연구 역량을 보여줍니다. 또한, 난용성 약물의 나노현탁액 제조방법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어, 제약 및 기능성 화장품 분야에서의 응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다양한 프로젝트와 출판물을 통해 연구 성과를 입증하고 있으며,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더욱 발전하고자 합니다.

Drug Delivery System
Drug Delivery Systems
Micronization
나노현탁액 기반 약물 전달 시스템 연구
나노입자 및 나노현탁액을 이용한 약물 전달 시스템 연구는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높이고, 표적 부위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실은 다양한 물리화학적 분석 기법과 제조 기술을 활용하여 나노입자의 물성을 최적화하고, 이를 통한 약물의 방출 특성과 체내 동태를 분석합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나노입자의 표면 개질을 통해 약물의 안정성과 장기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탐구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질병에 적용 가능한 맞춤형 나노약물 전달 시스템을 개발 중입니다.
고형 제제의 용해도 및 생체이용률 향상 연구
난용성 약물의 용해도와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는 의약품 개발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용매 및 고체상태 연구를 통해 약물의 용해도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제제 설계 방법을 제안합니다. 특히, 다양한 온도와 용매 조합에서 약물의 용해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최적의 약물 재결정화와 방출 프로파일을 설계합니다. 또한, 초임계 유체 기술을 활용한 미립자화 공정을 통해 약물의 용해도를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실제 의약품 제조에 적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1
Cationic nanoplastic causes mitochondrial dysfunction in neural progenitor cells and impairs hippocampal neurogenesis.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2023
2
Active coating of immediate-release evogliptin tartrate to prepare fixed dose combination tablet with sustained-release metformin HCl.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2022
3
Measurement and correlation of solubility of rivaroxaban in dichloromethane and primary alcohol binary solvent mixtures at different temperatures.
JOURNAL OF MOLECULAR LIQUIDS,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