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KAIST MAI Lab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공학과

이정률 교수

Laser Ultrasonic Testing

Radar Absorbing Structures

3D-Printed Composites

KAIST MAI Lab

항공우주공학과 이정률

KAIST MAI Lab(Measurement Robotics & Diagnostic AI Lab)은 항공우주공학을 기반으로 첨단 레이저 기반 비파괴 검사,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SHM), 스텔스 구조 및 전파흡수체의 전자기 성능 평가, AI 기반 자동 진단 및 로봇 검사 기술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레이저 초음파, 광섬유, PZT, 무선 센서 등 다양한 센싱 기술과 신호처리, 영상화, 자동화 시스템을 융합하여, 항공기, 우주발사체, 무인기, 풍력 블레이드, 발전소, 철도 등 대형 산업 구조물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레이저 기반 초음파 전파 영상화 시스템(UPI, PE UPI, TT UPI 등)은 비접촉·비파괴 방식으로 구조물의 내부 결함, 손상, 디본딩, 델라미네이션, 피로균열 등을 실시간으로 가시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로봇 기반 자동화 검사, 3D 스캔 기반 경로 생성, 곡률 보정 등 첨단 자동화 기술을 접목하여, 복잡한 곡면 구조물이나 대형 구조물의 전수 검사와 결함 위치 정밀 진단이 가능합니다. 최근에는 3D 프린팅 복합재, 연료탱크, 우주발사체 연소관 등 신소재 및 신구조물에 대한 비파괴 검사 기술도 활발히 개발하고 있습니다. 스텔스 구조 및 전파흡수체 분야에서는 자체 개발한 스캐닝 자유공간 측정 시스템(SFSM, MPI 등)을 활용하여, 곡률을 가진 스텔스 구조물, 레이돔, 3D 프린팅 복합재 등 다양한 형상의 시편에 대해 전자기파 반사/투과/흡수 특성을 정밀하게 측정·가시화하고 있습니다. 연속섬유 3D 프린팅, 다층 구조 설계, 두께 보정, 주파수 선택막(FSS) 적용 등 첨단 제조기술을 활용하여, 고온·고주파 대역에서 우수한 전파흡수 성능과 내구성을 갖는 신개념 스텔스 복합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AI 및 로봇 기술을 융합한 자동 진단 및 검사 시스템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딥러닝 기반 영상 분석, 신경망 학습, 통계적 임계값 산정 등 첨단 데이터 과학 기법을 활용하여, 초음파, 영상, 전자기파 등 다양한 센서 데이터로부터 구조물의 손상 여부를 자동으로 분류하고, 결함의 위치와 크기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AI 진단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6축 로봇 암, 3D 스캐너, LiDAR, 자동 경로 생성 알고리즘 등 로봇 기술을 접목하여, 복잡한 곡면 구조물이나 대형 산업 구조물의 전자동 비파괴 검사가 가능하도록 혁신적인 검사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 성과는 항공기, 우주발사체, 무인기, 풍력발전기,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 철도차량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 유지보수 비용 절감, 수명 예측 및 신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MAI Lab은 첨단 센싱, 신호처리, AI, 로봇 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구조 진단·검사 및 스마트 유지관리 기술을 선도해 나갈 것입니다.

Laser Ultrasonic Testing
Radar Absorbing Structures
3D-Printed Composites
레이저 기반 비파괴 검사 및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
본 연구실은 레이저 초음파 기술을 활용한 비파괴 검사 및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SHM)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도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레이저를 이용한 초음파 발생 및 센싱 기술은 기존의 접촉식 센서 방식과 달리, 비접촉식으로 구조물의 손상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복합재, 금속, 곡면 구조 등 다양한 형상의 항공우주 구조물, 발전소, 철도, 풍력 블레이드 등 대형 산업 구조물에 적용되어 현장 실증 경험을 축적하고 있습니다. 레이저 초음파 전파 영상화 시스템(UPI, UPI-PE, UPI-TT 등)은 구조물의 두께 방향 및 표면 방향의 손상, 결함, 디본딩, 델라미네이션, 피로균열 등을 실시간으로 가시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로봇 기반 자동화 검사 시스템, 3D 스캔 기반 경로 생성, 곡률 보정 알고리즘 등 첨단 자동화 기술을 융합하여 복잡한 곡면 구조물의 전수 검사와 결함 위치 정밀 진단이 가능합니다. 최근에는 3D 프린팅 복합재, 연료탱크, 우주발사체 연소관 등 신소재 및 신구조물에 대한 비파괴 검사 기술도 활발히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항공기, 우주발사체, 무인기, 풍력발전기,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 철도차량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 유지보수 비용 절감, 수명 예측 및 신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레이저 기반 비파괴 검사와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 기술은 미래 스마트 제조 및 유지관리 분야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스텔스 구조 및 전파흡수체의 전자기 성능 평가와 첨단 소재 개발
MAI Lab은 스텔스 구조 및 전파흡수체(RAS, Radar Absorbing Structure)의 전자기적 성능 평가와 첨단 소재 설계·제작 분야에서도 독보적인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스캐닝 자유공간 측정 시스템(SFSM, MPI 등)을 자체 개발하여, 곡률을 가진 스텔스 구조물, 레이돔, 3D 프린팅 복합재 등 다양한 형상의 시편에 대해 전자기파 반사/투과/흡수 특성을 전영역에 걸쳐 정밀하게 측정·가시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연속섬유 3D 프린팅, 다층 구조 설계, 두께 보정, 주파수 선택막(FSS) 적용 등 첨단 제조기술을 활용하여, 고온·고주파 대역에서 우수한 전파흡수 성능과 내구성을 갖는 신개념 스텔스 복합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실험실에서 개발된 소재와 구조물은 실제 항공기, 무인기, 위성, 군용 플랫폼 등에 적용되어, 레이더 반사 단면(RCS) 저감, 전자파 차폐, 통신·항법 신호 투과 등 다양한 임무 요구를 만족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전자기적 성능 평가와 더불어, 낙뢰, 충격, 피로 등 외부 환경에 의한 손상 발생 시 구조적·전자기적 성능 변화를 동시에 평가하는 융합 비파괴 검사 기술도 연구 중입니다. 이를 통해 스텔스 구조물의 신뢰성 확보와 수명 예측, 유지보수 최적화, 미래형 스마트 무기체계 및 항공우주 시스템의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AI 기반 자동 진단 및 로봇 검사 기술
최근 MAI Lab은 인공지능(AI) 및 로봇 기술을 융합한 자동 진단 및 검사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딥러닝 기반 영상 분석, 신경망 학습, 통계적 임계값 산정 등 첨단 데이터 과학 기법을 활용하여, 초음파, 영상, 전자기파 등 다양한 센서 데이터로부터 구조물의 손상 여부를 자동으로 분류하고, 결함의 위치와 크기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AI 진단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위상배열 초음파 검사(PAUT), 레이저 초음파 검사, 비디오스코프 기반 엔진 블레이드 검사 등에서 AI가 전문가 수준의 진단 정확도를 달성하고 있으며, GUI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동하여 현장 실무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6축 로봇 암, 3D 스캐너, LiDAR, 자동 경로 생성 알고리즘 등 로봇 기술을 접목하여, 복잡한 곡면 구조물이나 대형 산업 구조물의 전자동 비파괴 검사가 가능하도록 혁신적인 검사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AI 및 로봇 기반 검사 기술은 항공기, 우주발사체, 발전소, 철도, 플랜트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검사 효율성 극대화, 인력 의존도 감소, 검사 신뢰성 향상, 유지보수 자동화 등 미래 스마트 유지관리 체계의 핵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MAI Lab은 AI와 로봇 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진단·검사 시스템 개발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1
Cylindrical structure technique based on angular QL-scan G-UPI system
M S Jeon, D H Kim, J R Lee, S C Ho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2022.12
2
Corner Inspection of Autoclave-cured L-shaped Composite Structure using Pulse-echo Rotation Scanning Scheme based on Laser Ultrasonic
Y J Lee, J R Lee, S J Hong
Composite Research, 2018
3
Development of Acoustic Emission Training Technique and Localization Method using Q-switched Laser and Multiple Sensors/Single Channel Acquisition
Y Choi, J R Lee
Composite Research, 2018
1
(RCMS)대형 산업시설물의 결함검사를 위한 이동형 광초음파 검사시스템 개발(2024년도)
(주)서보스타
2024년 07월 ~ 2025년 03월
2
(RCMS)도심항공모빌리티(UAM) 특화 전문인력양성(2024년도)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3
(통합EZ)AI 진단 기반 항공기 로봇 검사 및 정비기술 개발(2024년도)
국토교통부
2024년 ~ 202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