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학교 의학과 곽민섭 교수
곽민섭 연구실은 소화기암, 특히 대장암 및 염증성 장질환 분야에서 첨단 융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임상 데이터, 유전체 및 전사체 등 다중 오믹스 데이터, 그리고 인공지능 기반 영상 분석 기술을 결합하여 암의 진단, 예후 예측, 치료 반응 평가 등 다양한 임상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 맞춤형 정밀의료 실현에 중요한 기초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장암 환자의 림프절 전이 및 재발 예측을 위한 다중 오믹스 분석과 딥러닝 조직 이미지 분석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S100A8 유전자, 상피-중간엽 전이 관련 유전자 세트, 그리고 특정 미생물군(p_PU) 등 다양한 바이오마커를 발굴하여, 암의 진행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환자별 감시 및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의 내시경 폴립 크기 측정 기술을 개발하여 임상 현장에서의 진단 정확도와 표준화를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염증성 장질환 및 크론병 분야에서는 항-TNF 치료 반응 예측,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 네트워크 기반 신약 후보물질 탐색 등 다양한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대장 조직의 미생물군 분석을 통한 상부위장관 침범 예측법, KAT2B 등 분자 바이오마커 발굴, 그리고 공공 데이터 기반의 신약 재창출 연구는 환자 맞춤형 치료 및 예후 예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본 연구실은 대규모 국가 단위 코호트 데이터 분석, 임상 진료지침 개발, 내시경 시술의 안전성 및 효율성 평가 등 다양한 임상 연구를 통해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다학제적 접근과 혁신적 연구 성과는 국내외 학계 및 의료 현장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곽민섭 연구실은 인공지능, 오믹스, 임상 빅데이터를 융합한 정밀의료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소화기암 및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생존율 향상과 삶의 질 개선, 그리고 의료 현장의 혁신에 앞장설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