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이상돈 연구실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이상돈 교수

Wetland Ecosystems

Climate Change Phenology

Roadkill Hotspots

이상돈 연구실

환경공학과 이상돈

이상돈 연구실은 환경공학과를 기반으로 기후변화, 생태계 서비스, 생물다양성, 서식지 보전 등 환경과 생태계 전반에 걸친 융합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도시화와 산업화,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그에 따른 사회적·경제적 영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며, 다양한 생태계 모델링 기법과 현장 조사,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통해 실질적이고 정량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식물의 개화 시기, 동물의 이동 및 행동권, 서식지 질 변화 등 생물계절 반응을 장기적으로 관찰하여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규명합니다. InVEST, MaxEnt 등 첨단 모델을 활용하여 도시 및 산림 생태계의 탄소 저장량, 순일차생산량, 서식처 질 등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의 시공간적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미래 기후 시나리오를 적용해 정책적 대응 방안을 제시합니다. 또한, 멸종위기종 및 주요 야생동물의 서식지 보전과 관리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고라니, 여우, 수달, 두루미, 기러기 등 다양한 포유류와 조류를 대상으로 서식지 적합성 모델, 행동권 분석, 유전적 다양성 평가, 먹이원 분석 등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효과적인 보전 및 복원 전략을 제안합니다. 도로와 도시 개발로 인한 서식지 단절 및 로드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태통로 구축, 이동 경로 분석, 로드킬 핫스팟 예측 등 실질적 저감 방안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환경영향평가, 도시계획, 자연보호구역 지정 등 실질적 정책에 연구 결과를 반영하고 있으며, 다양한 특허와 정책 자문, 학술 발표 및 국제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외 환경 및 생태계 보전 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생태계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평가, 도시 및 자연환경 보전 정책 수립,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과학적 근거 제공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상돈 연구실은 앞으로도 기후변화와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생태계 관리, 생물다양성 증진, 환경영향평가 제도 개선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환경공학 및 생태학 분야의 발전과 사회적 가치 창출에 앞장설 것입니다.

Wetland Ecosystems
Climate Change Phenology
Roadkill Hotspots
기후변화와 생태계 서비스 변화
이상돈 연구실은 기후변화가 생태계 서비스와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한반도와 수도권을 중심으로 식물의 개화 시기, 동물의 이동 및 서식지 변화, 그리고 생물계절 반응의 변동성을 장기적으로 관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교란과 그에 따른 생물종의 멸종 위험, 서식지 단절 문제 등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InVEST, MaxEnt 등 다양한 생태계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도시 및 산림 생태계의 탄소 저장량, 순일차생산량, 서식처 질 등 생태계 서비스의 시공간적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합니다. 또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 증가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미래 기후 시나리오(RCP 등)를 적용해 향후 생태계 변화와 정책적 대응 방안을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도시공원, 습지, 산림 등 다양한 생태계 유형에서의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 전략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생태계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평가, 도시 및 자연환경 보전 정책 수립, 그리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과학적 근거 제공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결과는 환경영향평가, 도시계획, 자연보호구역 지정 등 실질적 정책에 반영되고 있으며, 국내외 다양한 학술지와 정책 보고서를 통해 그 중요성이 널리 인정받고 있습니다.
서식지 보전 및 야생동물 관리
이상돈 연구실은 멸종위기종 및 주요 야생동물의 서식지 보전과 관리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고라니, 여우, 수달, 두루미, 기러기 등 다양한 포유류와 조류를 대상으로 서식지 적합성 모델(HSI), 행동권 분석, 유전적 다양성 평가, 먹이원 분석 등 다각적인 접근을 시도합니다. 이를 통해 각 종의 생태적 특성과 서식지 이용 패턴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보전 및 복원 전략을 제안합니다. 특히, 도로와 도시 개발로 인한 서식지 단절 및 로드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태통로(eco-bridge), 야생동물 이동 경로 분석, 로드킬 핫스팟 예측 등 실질적 저감 방안을 연구합니다. GIS, 공간통계,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접목하여 서식지 연결성, 개체군 변이, 유전자 흐름 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멸종위기종의 장기적 생존 가능성을 평가합니다. 또한,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야생동물 보호를 위한 정책적·기술적 개선점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자연환경 보전 정책, 멸종위기종 복원사업, 환경영향평가 제도 개선 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성과는 다양한 특허, 정책 자문, 학술 발표 및 국제 협력 프로젝트로 확장되고 있으며, 생태계 건강성 증진과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1
Potential Habitat and Priority Conservation Areas for Endangered Species in South Korea
이상돈
ANIMALS, 202504
2
Conservation Strategies for Endangered Species in the Forests Utilizing Landscape Connectivity Models
Park Hyomin, Jeong Ahmee, Koo Seulki, Lee Sangdon
SUSTAINABILITY, 202412
3
Analysis of Priority Conservation Areas Using Habitat Quality Models and MaxEnt Models
Jeong Ahmee, Kim Minkyung, Lee Sangdon
ANIMALS, 202406
1
광명시 탄소중립 연구
광명시의회
2024년 06월 ~ 2024년 11월
2
환경영향평가 통합 의사결정 검토 지원모델 검증 및 실증화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24년 ~ 2024년 12월
3
서울시 산림생태계 보전지역의 생태계 서비스 기여도 평가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
2023년 04월 ~ 2023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