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 에너지학과(겹) 명창우 교수
명창우 교수 연구실(Myung Group)은 에너지과학과를 기반으로 첨단 양자화학, 머신러닝, 인공지능, 그리고 에너지 소재 이론을 융합한 다학제적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양자역학적 계산과 머신러닝 기법을 결합하여, 기존의 계산적 한계를 뛰어넘는 대규모 물질 시뮬레이션과 신소재 설계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Sparse Gaussian Process 및 베이지안 기반 머신러닝 포텐셜을 개발하여, 다양한 물질계의 양자 특성을 빠르고 정확하게 예측함으로써, 에너지 소재, 촉매, 배터리, 태양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양자화학의 근본적인 난제인 슈뢰딩거 방정식의 해석, 전자 상관관계, 비평형 수송 현상 등 복잡한 전자 구조 문제를 다이어그램 접근법, 밀도범함수이론(DFT), 동적 평균장 이론(DMFT) 등 첨단 이론과 계산 방법을 통해 해결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금속, 절연체, 나노소자 등 다양한 물질계에서의 전자 구조와 반응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고, 실제 응용 분야에서의 성능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AI) 기반의 소재 설계와 로보틱스 합성 시스템을 도입하여, 이론과 실험의 경계를 허무는 융합 연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AI가 예측한 최적의 합성 조건을 실제 실험에 적용함으로써, 신소재 개발의 효율성과 성공률을 극대화하고, 친환경 에너지 소재, 고성능 촉매, 차세대 배터리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소재 이론 연구 역시 본 연구실의 핵심 분야로, 퍼스트 프린시플 계산을 통한 결정화, 상도, 동역학, 계면 구조 및 반응 경로 탐색 등 근본적인 물성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소재의 구조적 안정성, 전자적 특성, 반응성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차세대 에너지 소재의 설계와 최적화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명창우 교수 연구실은 이론-실험 융합, 첨단 계산과 AI 기술의 접목, 그리고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협력을 통해, 미래 에너지 산업과 소재 과학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다양한 프로젝트와 국제 협력, 우수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학계 및 산업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차세대 과학기술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