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김진성 연구실

경희대학교 한의학과

김진성 교수

김진성 연구실

한의학과 김진성

김진성 연구실은 한의학적 내과학, 특히 소화기 및 구강 질환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기능성 소화불량, 위식도역류질환, 과민성장증후군 등 다양한 소화기 질환의 한의학적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임상연구, 체계적 문헌고찰, 메타분석 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한의학의 전통적 변증 이론과 현대 의학적 진단기술(위전도, 초음파, 설진기 등)을 융합하여, 환자 맞춤형 진단 도구와 표준화된 평가 설문지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의학적 진단의 신뢰성과 객관성을 높이고, 임상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한약 처방의 임상시험을 통해 소화기 질환 환자에서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근거 중심의 한의학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구강작열감증후군, 구강건조증, 구취, 아프타성 구내염 등 구강 질환에 대한 한의학적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설진, 심박변이도, 타액분비율 등 다양한 진단기술을 활용하여 구강 질환의 원인과 증상, 한의학적 변증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육미지황탕, 백합 추출물, 단삼 추출물 등 한약재의 임상적 효과를 입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설진기와 같은 첨단 진단기술 개발을 통해 구강 질환의 객관적 평가와 진단의 표준화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연구실은 항암치료 유발 구강점막염, 쇼그렌 증후군, 만성 피로, 암 관련 피로 등 다양한 내과적 질환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법 개발과 임상적 근거 마련에 힘쓰고 있습니다. 특허 출원 및 다수의 국내외 학술지 논문 발표, 임상진료지침 개발, 국가 연구과제 수행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통해 한의학의 과학화와 국제화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김진성 연구실은 앞으로도 한의학과 현대의학의 융합을 통한 혁신적 진단 및 치료기술 개발, 환자 중심의 통합의료 실현, 한의학의 세계적 위상 제고를 목표로 지속적인 연구와 임상적 실천을 이어갈 것입니다.

한의학 기반 소화기 질환 진단 및 치료
본 연구실은 한의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소화기 질환, 특히 기능성 소화불량, 위식도역류질환, 과민성장증후군 등 다양한 소화기 질환의 진단과 치료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전통 한의학의 변증 이론과 현대 임상 데이터를 융합하여, 환자 맞춤형 진단 도구와 치료 프로토콜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양한 임상연구와 체계적 문헌고찰, 메타분석을 통해 한의학적 치료의 효과와 안전성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위전도, 복부초음파, 설진기 등 객관적 진단기기를 활용하여 소화기 질환 환자의 증상과 한의학적 변증 유형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표준화된 진단 설문지와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한의학의 진단 신뢰도를 높이고, 임상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한약 처방(예: 육군자탕, 내소화중탕, 반하사심탕 등)의 임상시험을 통해 소화불량, 위식도역류질환, 과민성장증후군 등에서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의학적 치료의 근거 기반을 마련하고, 환자 중심의 통합의료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한의학적 구강 질환 및 구강건조증 연구
연구실은 구강작열감증후군, 구강건조증, 구취, 아프타성 구내염 등 다양한 구강 질환에 대한 한의학적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설진, 심박변이도, 타액분비율, 디지털 설진기 등 다양한 진단기술을 활용하여 구강 질환의 원인과 증상, 한의학적 변증 간의 연관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육미지황탕, 백합 추출물, 단삼 추출물 등 한약재 및 한약 처방의 구강건조증, 구강점막염, 구취 등에 대한 임상적 효과와 안전성을 다기관 무작위 임상시험, 전임상 연구, 특허 개발 등을 통해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노인 구강건조증, 항암치료 유발 구강점막염, 구취 등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한의학적 치료의 적용 가능성을 넓히고 있습니다. 더불어, 디지털 설진기, 설태 평가 시스템 등 첨단 진단기술을 개발하여 구강 질환의 객관적 평가와 진단의 표준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한의학의 구강 질환 분야에서의 임상적 신뢰성과 치료 효과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Herb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non-erosive reflux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Kim, M., Park, C., 박재우, 김진성, 고석재
Medicine (United States), 202411
2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utonomic balance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Jeong, Haein, Choi, Su-Hyun, Ha, Na-Yeon, 고석재, 박재우, 김진성
MEDICINE, 202411
3
Acupuncture and electroacupuncture for cyclic vomiting syndrome with tachygastria in an adult A case report
Ha, N.-Y., 김진성
Medicine (United States), 202411
1
난치성 위식도역류질환 환자에 대한 PPI와 육군자탕 병용투여 임상시험 및 한의진단도구 개발(1/3)
(통합)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0년 06월 ~ 2022년 12월
2
불응성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한 의·한 협력 진료의 유효성과 안전성 평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9년 04월 ~ 2019년 06월
3
[2017년 경희의료원(한의대) IRB 과제]불응성 위식도역류질환의 변증유형에 따른 이진탕가미방의 증례수집 전향적 관찰연구
한약진흥재단
2017년 08월 ~ 2017년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