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흉부진단방사선학의 임상적 적용과 발전

흉부진단방사선학은 흉부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분야로, 본 연구실은 다양한 흉부 질환의 영상 진단법 개발과 임상 적용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폐암, 결핵, 폐렴,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등 다양한 폐 질환에 대한 영상의학적 평가와 진단 정확도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컴퓨터단층촬영(CT), 디지털 토모신테시스, 저선량 CT 등 첨단 영상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효율성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임상 케이스와 대규모 환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영상 소견과 임상적 예후 인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폐 결절의 성장 위험 인자, 흉막 종양의 영상적 특징, 폐렴 및 결핵의 영상 소견과 임상 경과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영상 진단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높이기 위한 새로운 영상 분석법과 인공지능 기반의 진단 보조 시스템 개발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흉부질환의 조기 진단과 치료 방침 결정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환자의 예후를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최신 영상기술과 임상 데이터를 융합하여, 흉부진단방사선학의 학문적 발전과 임상적 가치 증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입니다.

2

폐암 및 폐질환 영상진단과 예후 예측 연구

본 연구실은 폐암을 비롯한 다양한 폐질환의 영상진단과 예후 예측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비소세포폐암(NSCLC), 전이성 폐종양, 양성 및 악성 흉막 종양, 그리고 결핵 및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 감염 등 다양한 폐질환의 영상적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의 치료 반응과 생존율을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영상진단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본 연구실은 다양한 영상기법(CT, PET/CT, 디지털 토모신테시스 등)과 최신 영상 재구성 기술(예: iterative reconstruction, dual-energy CT 등)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폐암 병기 결정, 폐결절의 성장 위험 인자 분석, 방사선 치료 후 폐렴의 영상 소견, 폐암 환자의 치료 거부 요인 및 예후 인자 등 임상적으로 중요한 주제에 대해 다각적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다수의 논문과 임상 연구를 통해 폐암 환자의 생존율, 치료 반응, 합병증 발생률 등과 영상 소견 간의 연관성을 규명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폐암 및 폐질환 환자의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과 예후 예측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영상의학적 데이터와 임상 정보를 통합하여, 폐질환의 조기 진단, 치료 효과 예측, 그리고 환자 맞춤형 의료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