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boratory of Nanomaterials & Photo-Electrochemistry
에너지신소재공학과 이재준
에너지신소재공학과의 나노소재 및 광전기화학 연구실은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를 자랑합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금속 산화물 및 복합체를 이용한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는 다수의 논문과 특허로 입증되었습니다. 또한, 전기화학 센서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여, 도파민, 콜레스테롤 등의 생체 분자를 고감도로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나노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전기화학적 응용 연구를 통해, 연구실은 높은 연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다수의 국제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고, 여러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실제 응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는 등, 연구실의 성과는 매우 우수합니다.
Dye-Sensitized Solar Cells
Perovskite Solar Cells
Electrochemical Sensors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연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높은 효율과 낮은 제조 비용으로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에너지신소재공학과 나노소재 및 광전기화학 연구실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결함 패시베이션, 1D와 3D 구조 융합, 에너지 레벨 조절 등을 통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또한, 실내 조명 조건에서도 높은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소재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큰 가능성을 열어줄 것입니다.
전기화학 바이오센서 개발
현대 의학에서 질병의 조기 진단과 모니터링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나노소재 및 광전기화학 연구실은 전기화학 바이오센서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도파민, 콜레스테롤, 안넥신 단백질 등의 생체 분자를 고감도로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도성 고분자와 나노소재를 활용한 전극 수정 기술을 통해 센서의 선택성과 민감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성과를 이루어냈습니다. 이러한 센서는 의료 진단, 환경 모니터링, 식품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1
Ethylene glycol-containing ammonium salt for developing highly compatible interfaces in perovskite solar cells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023
2
Optically asymmetric down-shifting films for highly efficient photovoltaics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023
3
Role of Pi-Electron Density at the Interface of Small Molecule-Sensitized Solar Cells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C,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