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연구실
컴퓨터공학부 유인태
정보통신연구실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QoS/QoE, 멀티미디어 트래픽 관리, 네트워크 보안 등 정보통신 분야의 핵심 기술을 선도적으로 연구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형태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그룹 관리 MAC 프로토콜, 버퍼 임계값 설정, 클러스터링, Q-learning 기반 데이터 스케줄링 등 첨단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IoT 환경에서의 대규모 데이터 수집 및 전송, 스마트 헬스케어, 스마트 시티, 스마트 팩토리 등 다양한 융합 서비스에 적용 가능한 에너지 효율적 데이터 전송 기술을 특허화하고, 국내외 산학협력 및 정부 과제를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네트워크 품질(QoS) 및 사용자 경험(QoE) 보장을 위한 실시간 트래픽 관리, 패킷 재조합, 클라우드 네트워크 가상화, SDN/NFV 기반 네트워크 슬라이싱 등 차세대 네트워크 인프라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보안 및 인증 분야에서도 RFID 인증, Federated ID, OpenID, 블록체인 기반 접근 제어, 침입 탐지 등 다양한 보안 기술을 개발하여,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정보통신 환경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스마트 헬스케어, 스마트 시티, 지능형 교통 시스템 등 다양한 산업 및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실질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실은 다수의 국내외 특허, 논문, 산학협력 프로젝트, 정부 과제 수행을 통해 그 연구 역량과 성과를 인정받고 있으며, 정보통신 분야의 미래를 이끌어갈 핵심 인재 양성과 첨단 기술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Cisco Academy 등 글로벌 네트워크와의 협력, 공학교육 혁신, 글로벌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등 교육 및 사회적 기여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정보통신연구실은 앞으로도 차세대 네트워크, IoT, 스마트 융합 서비스, 보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 리더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Wireless Network QoS
Cross Layer Design
Real-time Distributed Simulation
무선 센서 네트워크 및 사물인터넷(IoT) 데이터 전송 기술
무선 센서 네트워크(WSN)와 사물인터넷(IoT) 환경에서의 데이터 전송 기술은 현대 정보통신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센서 노드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네트워크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다양한 그룹 관리 MAC 프로토콜, 버퍼 임계값 설정, 클러스터링 및 데이터 릴레이 방식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실제 환경에서 센서 노드와 싱크 노드가 모두 이동성을 가질 수 있는 복잡한 네트워크 토폴로지에서도 안정적인 데이터 수집과 전송을 보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특히, 본 연구실은 센서 노드의 거리, 에너지 잔존량, 데이터 특성 등을 고려한 그룹화 및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특허화하였으며, Q-learning 기반의 패킷 스케줄링, 버퍼 임계값 동적 조정 등 인공지능 기법을 접목한 데이터 전송 최적화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정형 및 이동형 센서가 혼재하는 환경, 대규모 IoT 인프라, 스마트 헬스케어 및 스마트 시티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전력망, 헬스케어, 물류,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적용되어, 효율적이고 신뢰성 높은 데이터 수집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 본 연구실의 기술은 국내외 특허와 다수의 논문,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미래 지능형 네트워크의 핵심 기반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QoS/QoE 및 멀티미디어 트래픽 관리
네트워크 품질(QoS) 및 사용자 경험(QoE) 보장은 차세대 인터넷, IPTV, 모바일 통신, 클라우드 네트워크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에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본 연구실은 실시간 스트리밍, IPTV, 모바일 멀티캐스트, WiBro-WiFi 연동 등 다양한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패킷 손실, 지연, 지터 등 네트워크 품질 저하 요인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연구합니다.
특히, 본 연구실은 패킷 재조합 기반의 QoS/QoE 보장, 크로스 레이어 설계, 동적 헤더 압축, 실시간 트래픽 관리, 버퍼 관리 등 다양한 트래픽 제어 및 최적화 기법을 개발하였습니다. 또한, 클라우드 네트워크 가상화, SDN/NFV 기반 네트워크 슬라이싱, MEC(모바일 엣지 컴퓨팅) 기반 트래픽 분산 등 최신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연계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방송, 통신, 스마트 시티, 스마트 웰니스, 지능형 교통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품질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며, 네트워크 인프라의 효율적 운영과 사용자 만족도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QoS/QoE 및 트래픽 관리 기술은 국내외 표준화, 특허, 산업체 협력 등 다양한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보안 및 인증 기술
정보통신 네트워크의 발전과 함께 보안 위협 또한 점차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무선 네트워크, IoT,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데이터 보안, 인증, 접근 제어, 침입 탐지 등 다양한 보안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RFID 인증 프로토콜, Federated ID 기반 인증 시스템, OpenID 기반 모바일 인증, N-gram 기반 침입 탐지 등 다양한 보안 솔루션을 개발하여 네트워크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USN(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데이터 위·변조 방지, 공개키 기반의 데이터 전송 보안, IoT 환경에서의 경량화된 인증 및 접근 제어 기술 등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인 보안 기술을 중점적으로 연구합니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의 서버 접근 제어, SDN 환경에서의 악성코드 탐지 등 최신 보안 트렌드에 대응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스마트 헬스케어,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시티 등 다양한 융합 서비스에서 안전한 데이터 통신과 개인정보 보호를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국가 및 산업체의 정보보호 역량 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1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iny-WiMAX Connection Manager (t-WCM) for Specific Purposed Devices
IEEE TRANSACTIONS ON CONSUMER ELECTRONICS, 2009.11
2
An Enhanced OpenID Authentication Mechanism for Mobile Environments
API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plications and Principles of Information Science) 2009, 2009.01
3
Improving TCP Westwood+ Performance With Advanced Bandwidth Estimation & New Congestion Control Schem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net Information Retrieval (ICIIR) 2007, 2007.12
1
[거점대학] 자가발전식 고효율 저비용 스마트센서 및 고신뢰성 센서 데이터 전송기술 연구(1/3)
2
사물인터넷 전문가양성과정 위탁교육 1/1 (유인태)
3
[2015경기도]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사업 4차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