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고분자 나노소재 및 하이브리드 소재 개발
본 연구실은 고분자 나노소재와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소재의 합성 및 응용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양한 고분자 기반 나노입자, 중공형 메조포러스 실리카 및 탄소 나노구조체, 그리고 금속 나노입자와의 복합화 기술을 통해 차세대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나노소재는 우수한 기계적, 열적, 전기적 특성을 가지며, 고분자와 무기물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하여 새로운 물성을 구현합니다. 특히, 표면 개질 및 도핑 기술을 활용하여 나노입자의 분산성, 전기적 특성, 촉매 활성, 항균성 등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표면이 아민기로 개질된 중공형 메조포러스 실리카 입자, 질소 및 플루오린 도핑된 탄소 나노입자 등은 배터리, 슈퍼커패시터, 센서 등 첨단 에너지 및 전자소자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소재는 광도파로, 광학 센서, 전자종이 등 광전자 및 디스플레이 분야에도 활용됩니다. 이러한 연구는 소재의 구조-물성-기능 간의 상관관계를 심도 있게 분석하며, 다양한 합성법(졸-겔, 계면중합, 자기조립 등)과 첨단 분석기법(X선, 전자현미경, 분광학 등)을 통해 소재의 미세구조와 성능을 정밀하게 규명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 고기능성 나노소재의 설계와 대량생산 기술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
생분해성 고분자 및 친환경 소재 연구
연구실은 환경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생분해성 고분자 및 친환경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PLA, PBAT, PBS, L-lactide, δ-valerolactone 등 다양한 생분해성 고분자 및 공중합체의 합성, 구조제어, 물성평가를 수행하며, 미세플라스틱 저감 및 바이오플라스틱 상용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분자 사슬 구조와 공단량체 조성비, 나노필러 도입에 따른 열적 안정성, 기계적 특성, 생분해성 조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 멀칭필름, 발포폼, 비직포 등 다양한 응용제품의 상용화 기술 개발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천연물(망고스틴 껍질 추출물 등)을 활용한 항균성 부여, 폐기물(담배꽁초 등) 기반 활성탄소 소재 개발 등 자원순환형 친환경 소재 연구도 적극적으로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농업, 환경, 의료, 포장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실질적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생분해성 고분자 연구는 고분자 합성, 가공, 물성평가, 생분해성 시험 등 전주기적 접근을 통해 소재의 실용성과 환경적 가치를 극대화합니다. 미세플라스틱 저감, 바이오매스 활용, 폐자원 재활용 등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혁신적 소재 개발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사회 구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