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공과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정성준 교수
정성준 교수가 이끄는 POSTECH 신소재공학과 bipp-lab은 유연 전자소자, 바이오프린팅, 디지털 프린팅 등 첨단 신소재 및 융합기술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유기 반도체, 2차원 소재 등 다양한 신소재를 활용하여 구부리거나 늘려도 성능이 유지되는 플렉시블 전자소자 및 회로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세대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전자 피부 등 혁신적인 응용 제품을 연구합니다. 특히, 3차원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조직공학 연구를 통해 인공 피부, 폐, 방광 등 다양한 체외 조직 모델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공 조직은 신약 개발, 질병 모델링, 독성 평가 등에서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혁신적인 플랫폼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맞춤형 세포 스티커(세포 반창고) 등 재생의학 분야의 신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디지털 프린팅 기술의 원리와 응용, 기능성 고분자 잉크 개발, 공정 최적화 등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며, ICT, NT, BT 등 다양한 융합기술과의 연계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 제조업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 기반의 프린팅 공정 제어, 미세유동 및 유변학 분석 등 첨단 연구 방법론을 도입하여, 고해상도·고균일성·대면적 인쇄가 가능한 차세대 전자 및 바이오 소자 제작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 전력 전송, 고해상도 뇌 신호 증폭 센서, 3차원 다기능 센서 어레이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통해 의료, 바이오, 전자,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실질적인 파급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산학협력, 정부 및 산업체 연구과제, 국제 학술지 논문 발표, 특허 출원 등에서 탁월한 성과를 내고 있으며, 다수의 수상 경력과 함께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bipp-lab은 미래 지향적이고 융합적인 연구를 통해 신소재공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차세대 전자·바이오·의료기술의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학생과 연구원들은 다양한 전공과 배경을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