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성영은 연구실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성영은 교수

Water Electrolysis

Electrocatalysts

CO2 Electroreduction

성영은 연구실

화학생물공학부 성영은

성영은 연구실은 전기화학 에너지 변환 및 저장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연구실로, 연료전지, 수전해, 금속-공기전지, 이차전지 등 다양한 차세대 에너지 소자의 핵심 소재 및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귀금속 및 비귀금속 기반의 나노촉매, 단원자 촉매, 코어-셸 구조, 탄소 기반 촉매 등 다양한 전기화학 촉매 및 전극 소재를 설계·합성하여, 산소환원반응(ORR), 산소발생반응(OER), 수소발생반응(HER), 이산화탄소 환원반응(CO2RR) 등에서의 고활성·고내구성·고효율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촉매의 활성점 구조 제어, 표면 및 계면의 전자구조 조절, 이종원소 도핑, 탄소 코팅, 나노구조 제어 등 다양한 화학적·물리적 전략을 적용하여, 기존 상용 촉매 대비 수십 배 이상의 활성 및 내구성을 달성하였으며, 산업적 대량합성 및 실용화 가능성도 함께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극 구조의 미세패터닝, 다공성 설계, 막-전극 접합체(MEA) 구조 최적화, 이온전도성 고분자 및 복합체 도입 등 전기화학적 계면 및 전극 구조 최적화를 통해 실제 소자에서의 성능과 내구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시간(in situ/operando)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전극 내에서 일어나는 구조 변화, 활성점의 진화, 계면 반응 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지식 기반의 소재 및 소자 설계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고출력·고내구성 연료전지, 저귀금속 수전해 시스템, 고에너지 밀도 금속-공기전지, 장수명 리튬-황전지 등 미래 에너지 산업의 핵심 소자 개발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다양한 국가 및 산업체 연구과제, 산학협력, 기술이전, 특허 출원, 국내외 저명 학술지 논문 발표 등 활발한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출신 인재들은 국내외 학계, 연구소, 산업계에서 활약하고 있으며, 차세대 에너지 소재 및 소자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성영은 연구실은 소재 합성-구조 설계-소자 평가-실증까지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며, 전기화학 에너지 변환 및 저장 분야의 학문적·산업적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혁신과 도전으로, 친환경·고효율 에너지 사회 구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Water Electrolysis
Electrocatalysts
CO2 Electroreduction
전기화학 에너지 변환 및 저장 시스템용 촉매 및 전극 소재 개발
성영은 연구실은 전기화학 에너지 변환 및 저장 시스템의 핵심인 촉매 및 전극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연료전지, 수전해, 금속-공기전지, 이차전지 등 다양한 전기화학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고활성, 고내구성, 고효율 촉매 및 전극 구조를 설계하고 합성하는 데 주력합니다. 특히, 백금, 팔라듐, 이리듐 등 귀금속 기반 합금 나노입자, 단원자 촉매, 코어-셸 구조, 탄소 기반 비귀금속 촉매 등 다양한 나노구조체를 개발하여 산소환원반응(ORR), 산소발생반응(OER), 수소발생반응(HER), 이산화탄소 환원반응(CO2RR) 등에서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촉매 및 전극 소재는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MFC), 고온형 연료전지, 수전해 시스템(PEMWE, AEMWE), 금속-공기전지, 리튬-황전지, 리튬-이온전지 등 다양한 차세대 에너지 소자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촉매의 합성뿐만 아니라, 전극 구조의 미세조정, 표면 개질, 이온전달 및 전자전달 경로 최적화 등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실제 소자에서의 성능과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촉매의 활성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해 표면 및 계면의 전자구조 조절, 이종원소 도핑, 탄소 코팅, 나노구조 제어 등 다양한 화학적·물리적 전략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 상용 촉매 대비 수십 배 이상의 활성 및 내구성을 달성하였으며, 산업적 대량합성 및 실용화 가능성도 함께 제시하고 있습니다.
전기화학적 계면 및 전극 구조 최적화와 차세대 에너지 소자 응용
본 연구실은 전기화학적 계면의 동적 구조와 전극 구조 최적화를 통해 차세대 에너지 소자의 성능 극대화 및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전극-전해질 계면에서의 이온 및 전자 이동, 반응 중간체의 거동, 촉매 표면의 재구성 등 미시적 현상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실제 소자에서의 효율 저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설계 전략을 개발합니다. 특히, 막-전극 접합체(MEA) 구조의 미세패터닝, 다공성 구조 설계, 이온전도성 고분자 및 고분자-무기 복합체의 도입, 표면 개질 및 계면 안정화 기술을 통해 연료전지, 수전해, 금속-공기전지, 이차전지 등 다양한 소자에서의 전기화학적 성능과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실시간(in situ/operando)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전극 내에서 일어나는 구조 변화, 활성점의 진화, 계면 반응 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지식 기반의 소재 및 소자 설계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출력·고내구성 연료전지, 저귀금속 수전해 시스템, 고에너지 밀도 금속-공기전지, 장수명 리튬-황전지 등 미래 에너지 산업의 핵심 소자 개발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소재 합성-구조 설계-소자 평가-실증까지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며, 국내외 산학연 협력 및 기술이전, 특허 출원, 논문 발표 등 활발한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1
Bifunctional trimethylsilyl-modified fluorinated ester additive for LiF-rich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in lithium metal batteries
성영은, Park Eunbin, Lee Young-Hoon, Huh Sung-Ho, Huh June, Yu Seung-Ho
Energy Storage Materials, 202505
2
Atomically Dispersed High-Valent d0-Metal Breaks the Activity-Stability Trade-Off in Proton Exchange Membrane Water Electrolysis
성영은, Shim Jaehyuk, Lee Kangjae, Yu Yunjae, Lee Hyeon Seok, Shin Heejong, Lee Kug-Seung, Bootharaju Megalamane S., Han Sanghwi, Yi Gyu Seong, Ko Hyojoo, Lee Sihwa, Ryu Jaeyune, Kim Minho, Lee Byoung-Hoon, Hyeon Taeghwan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2505
3
Efficient H2O2 Electrosynthesis in Acidic media via Multiscale Catalyst Optimization
Lee Jaewoo, Shin Heejong, Mok Dong Hyeon, Heo Sungeun, Paidi Vinod K., Lee Byoung-Hoon, Lee Hyeon Seok, 성영은, Yang Juhyun, Shin Dongho, Moon Jaeho, Kim Kang, Jung Muho, Lee Eungjun, Bootharaju Megalamane S., Kim Jeong Hyun, Park Subin, Kim Mi-Ju, Glatzel Pieter, Yoo Sung Jong, Shim Jaehyuk, Back Seoin, Lee Kug-Seung, Hyeon Taeghwan
ADVANCED MATERIALS, 202504
1
DMFC용 고성능 cathode 촉매 개발 연구
정부출연기관
1970년 ~ 1970년
2
DMFC용 고성능 촉매 및 담지체 소재 개발
정부기관
1970년 ~ 1970년
3
고분자 템플레이트를 이용한 나노금속산화물 합성 및 광전기화학 소자에의 응용
정부출연기관
1970년 ~ 197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