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Environmental and Energy Process Laboratory (EEPL)

단국대학교 본교(제1캠퍼스) 화학공학과

정선엽 교수

Colloidal Aggregation and Deposition

Microfluidic Mixing

Electrochemical Systems

V3_minor

Environmental and Energy Process Laboratory (EEPL)

화학공학과 정선엽

환경 및 에너지 공정 연구실(EEPL)은 화학공학과 소속으로, 다양한 환경 및 에너지 관련 공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콜로이드 응집 및 침전, 혼돈 혼합, 전기화학 시스템, 미세유체 혼합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콜로이드 응집 및 침전 연구는 다양한 산업 공정에서의 입자 거동을 이해하고 제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세유체기술을 이용한 입자계 현탁액에서의 부유입자 거동 관찰 연구를 통해 큰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또한, 혼돈 혼합 및 전기화학 시스템 연구는 고속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 공정 및 연료전지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EEPL은 최근 3년간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고, 다양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관련 분야에서의 연구 역량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Colloidal Aggregation and Deposition
Microfluidic Mixing
Electrochemical Systems
복잡 유체의 혼합 및 혼합기 설계
복잡 유체의 혼합 및 혼합기 설계는 현대 화학공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입니다. 이 연구는 미세유체기술을 이용하여 입자계 현탁액에서 부유입자의 거동을 관찰하고, 다양한 혼합기 디자인을 분석하여 최적의 혼합 조건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체커보드 패턴 등의 디자인을 이용해 혼합 성능을 극대화하고, 역삼투 필터링과 같은 공정에서의 효율성을 높이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유체 시스템 내에서의 혼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다양한 산업 공정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합니다.
전기화학 시스템 및 에너지 저장 기술
전기화학 시스템 및 에너지 저장 기술은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연구 분야입니다. 이 연구는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 공정에서 고속 탈수 개념을 적용하거나, 전기화학적 질소 환원 반응을 통해 암모니아 생산을 개선하는 등의 다양한 전기화학 시스템을 탐구합니다. 또한, 다양한 전극 설계와 성능을 평가하여 전기화학적 리튬 회수 시스템(ELR) 및 연료 전지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연구를 진행합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차세대 에너지 저장 기술의 상업화와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1
Synergistic interplay between thixotropy and fluid inertia on chaotic mixing in a serpentine channel: a numerical analysis
Seon Yeop Jung, Jun Dong Park, Jo Eun Park, Jaewook Nam, Tae Gon Kang
, 2024
2
Chaotic mixing induced by chevron pattern surfaces: Application to reverse osmosis filtration
Jo Eun Park, Seon Yeop Jung, Tae Gon Kang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and Design, 2024
3
The impact of thixotropic behavior on microfluidic mixing in a staggered-herringbone mixer
Jo Eun Park, Tae Gon Kang, Seon Yeop Jung
Physics of Fluids,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