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ETI @ SKKU
나노공학과 김준기
QuETI @ SKKU 연구실은 이온포획 기반 양자공학 분야에서 국내외를 선도하는 연구실로, 성균관대학교 나노과학기술학과를 중심으로 첨단 양자컴퓨터 및 양자 네트워크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이온포획 시스템을 활용한 양자컴퓨터 하드웨어 설계, 제작, 그리고 실험적 구현에 이르기까지 풀스택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온트랩 칩의 미세구조 설계와 MEMS 기반의 칩 제작, 저온 이온트랩 시스템, 다중종 이온체인 등 다양한 혁신적 하드웨어 연구를 통해 대규모 양자컴퓨터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양자 네트워크 및 원격 얽힘 기술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온-광자 얽힘을 기반으로 한 모듈형 네트워크 아키텍처, 양자 중계기 노드, 양자 주파수 변환 시스템 등은 장거리 양자통신과 분산 양자컴퓨팅의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Hong-Ou-Mandel 간섭 실험, 원격 얽힘 생성, 그리고 다중종 이온체인 기반의 이질적 네트워크 구성 등 다양한 실험적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양자 오류정정 및 양자 알고리즘 개발도 연구실의 중요한 축을 이룹니다. 하드웨어 특성에 최적화된 오류정정 코드, 실시간 피드백이 가능한 신호 복호화 알고리즘, 머신러닝 기반 디코더 등은 양자컴퓨터의 신뢰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파라미터화된 양자회로, 변분 양자 고유값 추정기 등 양자기계학습 분야의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집적 광자소자 및 이온트랩 칩 제작 기술 역시 연구실의 핵심 역량 중 하나입니다. MEMS 기반의 다층 금속 구조, 오버행 구조, 투명 전도성 산화물 등 첨단 소재와 공정 기술을 활용하여 차세대 이온트랩 칩을 개발하고, 웨이브가이드, 그레이팅 커플러 등 나노 광자소자의 집적화를 통해 양자정보의 효율적 입출력과 대규모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본 연구실은 양자컴퓨터의 실용화와 산업적 응용을 위해 다양한 국내외 연구기관 및 기업과 협력하고 있으며, 다수의 특허, 논문, 국제 공동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양자공학 분야의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QuETI @ SKKU 연구실은 양자정보과학의 미래를 이끌어갈 핵심 기술 개발에 앞장설 것입니다.
Photonics
Quantum Computing
Ion Traps
이온포획 기반 양자컴퓨터 설계 및 제작
이온포획 기반 양자컴퓨터는 현재 가장 유망한 양자컴퓨팅 플랫폼 중 하나로, 긴 코히런스 시간, 높은 게이트 충실도, 그리고 큐비트 간의 전면적 연결성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전자기장 내에 이온을 가두고, 이온의 내부 에너지 준위를 큐비트 상태로 활용하여 정밀한 양자 연산을 수행합니다. 마이크로파 또는 레이저를 이용한 정밀 제어를 통해 큐비트의 상태를 조작하며, 이온 간의 쿨롱 반발력을 이용해 큐비트 간 얽힘을 생성합니다.
연구실은 대규모 이온체인 구현, 표면 트랩 설계, 그리고 다양한 이온종(Yb, Ba 등)을 활용한 다중종 이온포획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온트랩 칩의 미세구조 설계와 MEMS 기반의 칩 제작 기술을 통해 하드웨어의 확장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하드웨어 연구는 양자컴퓨터의 실질적 양자 우위 달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합니다.
이온포획 시스템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저온 이온트랩, 다중 금속층 구조, 오버행 구조 등 다양한 혁신적 설계를 도입하고 있으며, 실험적으로는 80개 이상의 이온을 2시간 이상 안정적으로 트랩하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앞으로는 5큐비트 이상의 완전 연결 시스템, 이온 이동 및 개별 제어, 그리고 양자게이트의 고충실도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양자 네트워크 및 원격 얽힘 기술
양자 네트워크는 양자컴퓨터의 확장성과 보안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핵심 기술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이온포획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양자 네트워크 구현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온-광자 얽힘을 활용한 모듈형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분산된 양자노드 간의 양자정보 전송 및 원격 얽힘 생성이 가능해집니다.
특히, 양자 중계기(quantum repeater) 노드 개발, 양자 주파수 변환(Quantum Frequency Conversion, QFC) 기술, 그리고 장거리 광섬유 통신을 위한 자외선-통신대역 변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174Yb 이온에서 방출된 두 광자의 Hong-Ou-Mandel 간섭을 성공적으로 관측하였고, 원격 이온 큐비트 간의 얽힘 생성에도 성공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대규모 양자 네트워크 및 양자 인터넷 실현의 초석이 됩니다.
양자 네트워크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실시간 피드백이 가능한 신호 복호화 알고리즘, 하드웨어 최적화된 양자 오류정정 코드, 그리고 다중종 이온체인 기반의 이질적 네트워크 구성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안전한 양자통신, 분산 양자컴퓨팅, 그리고 미래의 양자 인터넷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양자 오류정정 및 양자 알고리즘 개발
양자컴퓨터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양자 오류정정(Quantum Error Correction, QEC)이 필수적입니다. 본 연구실은 이온트랩 하드웨어의 특성에 최적화된 오류정정 코드와 회로를 설계하고, 실제 하드웨어에서의 오류율, 런타임, 큐비트 수 등 다양한 성능 지표를 분석합니다. 또한, 신속한 실시간 피드백을 위한 신호 복호화(디코더) 알고리즘, 머신러닝 기반 디코더, 그리고 토폴로지 코드 등 다양한 오류정정 기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양자 알고리즘 측면에서는 Shor 알고리즘, Grover 탐색 알고리즘 등 기존의 대표적 양자 알고리즘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특성에 맞춘 새로운 알고리즘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파라미터화된 양자회로와 변분 양자 고유값 추정기(Variational Quantum Eigensolver, VQE) 등 양자기계학습(Quantum Machine Learning) 분야의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양자컴퓨터의 신뢰성, 확장성, 그리고 실제 문제 해결 능력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실험적 검증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론과 실험의 통합적 발전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1
Direct measurement of isotope shifts in the barium 6𝑠2 1S0-5d6p 3D1 transition
Jungwoo Choi, Eunhwi Lee, Dahyun Yum, Kyounwon An, Junki Kim
Physical Review A, 2024
2
Design and characterization of individual addressing optics based on multi-channel acousto-optic modulator for 171Yb+ qubits
Sungjoo Lim, Seunghyun Baek, Jacob Withlow, Marissa D'Onofrio, Tianyi Chen, Samuel Phiri, Stphen Crain, Kenneth R. Brown, Jungsang Kim, Junki Kim
Optics & Laser Technology, 2025
3
An elementary review on basic principles and developments of qubits for quantum computing
Eunmi Chae, Joonhee Choi, Junki Kim
Nano Convergence, 2024
1
3차원 이온 포획 개발 및 이온포획 확장 연구과제
3
한국연구재단 범용 양자컴퓨터 사업 과제 (주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원자기반 양자메모리 사업 과제 (공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