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학교 미래정보디스플레이학부(겹) 장진 교수
차세대디스플레이 연구센터는 디스플레이 및 전자소자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Oxide TFT), 저온 다결정 실리콘(LTPS),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양자점 발광다이오드(QLED), 유기 태양전지(OPV), 플렉시블 및 프린티드 일렉트로닉스 등 다양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전자소자 연구를 중점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a-IGZO, ZnO, IZTO 등 산화물 반도체를 기반으로 한 TFT의 구조, 공정, 특성 및 신뢰성 향상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스퍼터링, 용액공정, 잉크젯 프린팅 등 다양한 제조 방법을 통해 대면적, 저온, 저비용 공정의 실현 가능성을 탐구하며, AMOLED, QLED, 마이크로 LED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센서, 의료용 디바이스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연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플렉시블 및 프린티드 일렉트로닉스 분야에서는 폴리이미드, PEN 등 플라스틱 기판 위에 산화물, 유기, 실리콘 기반의 TFT 및 회로를 집적하여, 플렉시블 AMOLED, 플렉시블 센서, 플렉시블 태양전지 등 다양한 응용 분야를 개척하고 있습니다. 잉크젯 프린팅, 스핀코팅 등 비진공 용액공정 기반의 프린티드 일렉트로닉스 기술을 통해 대면적, 저비용, 저온 공정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산화물 TFT의 전기적 특성 및 환경적 안정성 향상을 위한 소재 및 공정 최적화, 플렉시블 소자의 신뢰성 확보, 신소재 기반의 내구성 향상, 프린티드 OLED, QLED, OPV, PIN 다이오드 등 다양한 프린티드 소자 연구를 통해 초저가 대량생산, 대면적 커버리지, 구조적 유연성, 경량화 등 프린티드 일렉트로닉스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차세대디스플레이 연구센터는 기존의 a-Si:H, LTPS 기반 TFT의 한계를 극복하고, 고해상도, 고신뢰성, 저전력, 투명/유연 디스플레이 구현에 필수적인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소재, 공정, 소자, 회로, 시스템까지 아우르는 전주기적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미래 디스플레이 및 전자소자 산업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