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Polymer Nanocomposite & Carbon Fiber Laboratory

울산과학기술원 본교(제1캠퍼스) 신소재공학과

채한기 교수

Carbon Fiber

Polymer Nanocomposites

Rheological Ink Design

V3_minor

Polymer Nanocomposite & Carbon Fiber Laboratory

신소재공학과 채한기

신소재공학과의 Polymer Nanocomposite & Carbon Fiber Laboratory는 고분자 나노복합재 및 탄소 섬유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연구실은 고성능 및 고기능성 섬유, 촉매 내장 탄소 섬유, 웨어러블 장치를 위한 스마트 텍스타일, 3D 프린팅을 위한 유변학적 잉크 설계 등의 다양한 연구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이 연구실은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의 비정상적으로 높은 흑연화 결정화, 헥사고날 보론 나이트라이드와 아라미드 공중합체 간의 수소 결합 개선을 통한 열전도율 및 기계적 특성 향상, 그리고 루테늄 내장 탄소 섬유를 사용한 견고한 전기촉매 설계 등의 연구 성과를 발표하였습니다. 또한, 이 연구실은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국제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고 있습니다.

Carbon Fiber
Polymer Nanocomposites
Rheological Ink Design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 기반 고성능 나노복합재 연구
본 연구실에서는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CNC)를 기반으로 한 고성능 나노복합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CNC를 활용하여 경량이면서도 높은 기계적 특성을 지닌 나노복합재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기능성 소재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특히,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과 기타 유기 및 무기 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기적 및 열전도 특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고성능 탄소 섬유 및 전구체 개발 연구
고성능 탄소 섬유의 개발을 위해 다양한 전구체 물질과 제조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PAN(폴리아크릴로니트릴) 기반의 전구체 섬유를 다양한 금속 촉매와 조합하여 탄소 섬유의 기계적 강도와 전기적 특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또한, 나노복합재 기술을 응용하여 탄소 섬유의 응용 범위를 넓히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차세대 고성능 복합 소재를 개발하여 항공우주,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Abnormally High Graphitic Crystallization of Cellulose Nanocrystals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2024
2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and mechanical property via improvement of hydrogen bonding between hexagonal boron nitride and aramid copolymer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2024
3
Scalable Design of Ru-Embedded Carbon Fabric Using Conventional Carbon Fiber Processing for Robust Electrocatalyst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