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이진호 교수
이진호 연구실은 전기·정보공학부를 기반으로 차세대 인공지능 반도체 및 시스템 아키텍처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하드웨어 설계, 인공지능 가속기, 지능형 메모리, 분산 딥러닝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인공지능과 하드웨어의 융합을 통한 실질적인 성능 향상과 효율성 극대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는 신경망 처리 장치(NPU), GPU, FPGA 등 다양한 하드웨어 플랫폼의 구조적 최적화와, 신경망-하드웨어 공동 설계(Co-Design)입니다. 데이터플로우 미러링, 미분 가능한 공동 탐색(DANCE), 경량 신경망 및 가속기 동시 설계 프레임워크 등 최신 기술을 개발하여, 실제 MLPerf 벤치마크 및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또한, PIM(Processing-In-Memory) 기반의 지능형 메모리 시스템, 분산 딥러닝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통신 및 데이터 처리, FPGA를 활용한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가속화 등 대규모 데이터와 고성능 컴퓨팅이 요구되는 환경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엣지 컴퓨팅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실질적인 파급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수의 특허 출원과 국내외 유수 학회 및 저널에 논문을 발표하며, 국가 대형 연구과제 및 산학협력을 통해 기술의 실용화와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반도체 융합전문 인력육성, AI 대학원 지원, 차세대 AI 반도체 데이터센터 아키텍처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미래 정보기술 분야의 핵심 인재와 기술을 선도적으로 육성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진호 연구실은 인공지능과 하드웨어의 경계를 허무는 융합 연구를 통해, 차세대 AI 반도체 및 시스템 아키텍처의 혁신을 이끌어갈 것입니다. 이를 통해 고성능, 저전력, 확장성이 뛰어난 인공지능 컴퓨팅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고, 국내외 정보통신 및 반도체 산업의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