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KU SAID 연구실은 지속가능한 건축, 통합 설계, 그리고 도시 환경의 혁신적 발전을 목표로 하는 선도적 연구기관입니다. 본 연구실은 건축과 도시 설계의 전 과정에서 에너지 효율, 자원 절약, 환경 친화적 접근을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미래지향적이고 지속가능한 공간을 창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국제 협력 프로젝트, 산학연계 연구, 그리고 실제 도시 및 건축 현장에 적용 가능한 솔루션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특히, 본 연구실은 패시브 하우스, 제로 에너지 빌딩, 하이브리드 목구조 리노베이션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 개선과, BIM 및 파라메트릭 디자인을 통한 설계 최적화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다양한 도시와 건축 프로젝트에 적용되어, 실질적인 에너지 절감과 환경 영향 저감 효과를 입증하고 있습니다.
도시 회복력, 기후 적응, 그리고 물-민감형 도시 설계 분야에서도 본 연구실은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도시의 물 순환, 빗물 관리, 저영향 개발(LID) 등 다양한 친환경 인프라 구축 방안을 연구하며, 도시가 기후 변화와 자연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도시 재생, 스마트 시티,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조성 등 다양한 현장 프로젝트를 통해 연구 결과를 실질적으로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실은 정책, 제도, 시민 참여 등 사회적 요소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와 건축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제 학술대회, 워크숍,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속가능한 미래 도시와 건축의 비전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SKKU SAID 연구실은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건축과 도시 설계, 회복력 있는 도시 환경 구축, 그리고 혁신적 인프라 개발을 통해 사회적·환경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앞장설 것입니다.
지속가능한 건축 및 통합 설계는 현대 도시와 건축 환경에서 필수적인 연구 분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에너지 효율, 자원 절약, 환경 친화적 재료 사용 등 다양한 요소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건축물과 도시 공간을 설계합니다. 이를 통해 건축물의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사회적·경제적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본 연구실은 패시브 하우스, 제로 에너지 빌딩, 하이브리드 목구조 리노베이션 등 첨단 기술과 설계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BIM(빌딩정보모델링)과 파라메트릭 디자인을 활용하여 건물의 에너지 성능, 일조, 실내 환경 질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설계 솔루션을 도출합니다. 이러한 접근은 실제 프로젝트와 연구 논문, 국제 협력 프로젝트 등에서 그 효과가 입증되고 있습니다.
나아가, 통합 설계는 단일 건축물에 국한되지 않고, 인근 지역과 도시 전체의 맥락까지 확장됩니다. 지속가능한 이웃과 커뮤니티 조성, 공공 공간의 활성화,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업을 통해 도시의 회복력과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통합 설계 연구는 미래 도시와 건축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도시 회복력, 기후 적응 및 물-민감형 도시 설계
도시 회복력과 기후 적응, 그리고 물-민감형 도시 설계는 기후 변화와 도시화가 심화되는 현대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입니다. 본 연구실은 도시가 자연재해, 기후 변화, 환경 오염 등 다양한 외부 충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이를 위해 도시 인프라의 통합적 관리, 친환경적 물 관리 시스템, 저영향 개발(LID) 기법 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물-민감형 도시 설계는 빗물 관리, 도시 홍수 예방, 수질 개선 등 도시의 물 순환 전반을 고려한 설계 전략을 포함합니다. 본 연구실은 독일, 네덜란드, 한국 등 다양한 국가의 사례를 비교·분석하며, 도시 내 분산형 물 관리 시스템, 빗물 재이용, 생태학적 하수 처리 등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도시 재생 프로젝트, 산업단지 전환, 스마트 시티 구축 등 다양한 현장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도시 회복력과 기후 적응 연구는 단순히 기술적 접근을 넘어서, 정책, 제도, 시민 참여 등 사회적 요소와의 연계를 강조합니다. 본 연구실은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회복력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력하며, 미래 도시가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적 도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Sustainable Transportation Assessment Index (SusTAIN) Framework for Mixed-Use Neighborhoods in India
Land, 2024
2
Parametric passive house standard compliance energy analysis of three exemplary carbon neutral hybrid timber technology-based building renovat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Building and Environment, 2023
3
Carbon Life Cycle Assessment and Costing of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s for Deep Low-Carbon Renovation
South Korea Cooperation Project in the fields of "Energy Efficiency in Buildings", "Sustainable Buildings and Cities", "Modular Construction", "Smart Living and Smart Cities" and "Digitalization in construction"
Federal Institute for Building, Urban and Spatial Research (BBSR)
2022년 ~ 2025년
2
Development of a smart, sustainable, carbon neutral and emission free building renovation system
Basic Science Research Fund
2018년 ~ 2022년
3
Flood Resilient and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using the Example of an Industrial Compound Conversion in Seoul,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