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현 연구실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최정현
최정현 연구실은 감염내과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인정받는 선도 연구실로, 성인 예방접종, 중증 감염질환의 진단 및 치료, 의료관련감염 관리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인플루엔자, 대상포진, 폐렴구균,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등 주요 백신의 임상시험과 면역원성 평가를 통해 국내 성인 예방접종 정책 발전에 크게 기여해왔습니다. 특히 고령자, 만성질환자, 면역저하 환자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의 효과와 안전성, 그리고 접종률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패혈증, 침습성 진균감염, 다제내성균 감염 등 중증 감염질환의 조기 진단 및 치료 전략 개발 역시 연구실의 핵심 분야입니다. 다양한 바이오마커와 분자진단기술을 활용한 신속 진단법 개발, 맞춤형 치료 가이드라인 제시, 그리고 국내외 다기관 코호트 연구를 통한 임상적 근거 마련에 힘쓰고 있습니다. 또한, 항진균제 및 항생제의 약동학, 내성균 출현에 대한 분자역학적 분석, 신약 임상시험 등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의료기관 내 감염 예방 및 관리 분야에서도 연구실은 표준예방지침 개발, 감염관리감시단 운영, 감염병 유행 시 병원 내 대응 시스템 구축 등 실무적 연구와 정책 제안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MERS 등 신종 감염병 유행 시에는 병원 내 감염 차단을 위한 선제적 대응 전략과 다단계 선별진료 시스템 도입 등 혁신적인 감염관리 방안을 실현하였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전국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수준 향상과 환자 안전 문화 정착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제내성균(ESBL, CRE, VRE 등) 감염의 역학, 위험인자, 치료 결과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항생제 병용요법, 내성 억제 전략, 신약 개발 및 임상 적용을 통해 중증 감염질환 환자의 생존율 향상과 항생제 내성 문제 해결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감염병 예방 및 치료에 있어 최신 진단기술과 치료법을 임상 현장에 신속히 적용함으로써 환자 치료 성적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처럼 최정현 연구실은 감염내과의 다양한 분야에서 임상과 연구, 정책 개발을 아우르는 통합적 접근을 통해 국내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와 국민 건강 증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신종 감염병, 항생제 내성, 백신 개발 등 미래 감염질환 대응을 위한 선도적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감염내과에서의 성인 예방접종 및 백신 연구
감염내과 분야에서 성인 예방접종은 감염병 예방과 공중보건 증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 연구실은 성인 예방접종의 임상적 효과, 안전성, 그리고 면역원성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플루엔자, 대상포진, 폐렴구균,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Tdap), HPV 등 다양한 백신의 임상시험과 면역반응 평가를 통해 국내 성인 예방접종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고령자 및 만성질환자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의 효과와 부작용, 그리고 백신 접종률 향상을 위한 전략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다기관 임상연구와 전국 단위의 역학조사를 통해 백신 접종 후 항체가 변화, 부작용 발생률, 그리고 실제 감염병 예방 효과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면역억제 환자나 자가면역질환 환자 등 특수 집단에서의 백신 접종 가이드라인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외 예방접종 권고안 개정에 반영되고 있으며, 감염병 확산 방지와 건강한 사회 구현에 중요한 근거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신종 감염병에 대응하는 백신 개발 및 평가, 그리고 백신 접종 정책의 과학적 근거 마련을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중증 감염질환(패혈증, 진균감염 등)의 진단 및 치료 전략
본 연구실은 패혈증, 침습성 진균감염, 다제내성균 감염 등 중증 감염질환의 조기 진단과 치료 전략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패혈증은 빠른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생존율을 좌우하는 질환으로, 다양한 바이오마커(예: 프로칼시토닌, C-반응단백, 미세RNA 등)와 분자진단기술을 활용한 조기 진단법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다기관 코호트 연구(KISS 등)를 통해 패혈증 환자의 임상 특성, 예후 인자, 치료 성적을 분석하고, 맞춤형 치료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침습성 진균감염(아스페르길루스증, 칸디다증 등)은 면역저하 환자에서 치명적일 수 있어, 진단 및 치료의 최신 트렌드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항진균제의 약동학적 특성, 약물 모니터링, 내성균 출현에 대한 분자역학적 분석, 그리고 새로운 항진균제의 임상적 효과 평가 등이 주요 연구 주제입니다. 특히, 조혈모세포이식 환자, 혈액종양 환자 등 고위험군에서의 감염 예방 및 치료 전략 수립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다제내성균(ESBL, CRE, VRE 등) 감염의 역학, 위험인자, 치료 결과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항생제 병용요법, 항생제 내성 억제 전략, 신약 개발 및 임상 적용에 관한 연구를 통해 중증 감염질환 환자의 생존율 향상과 항생제 내성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의료관련감염 관리 및 감염병 대응 시스템 구축
의료기관 내 감염(의료관련감염, 병원감염)은 환자 안전과 공중보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입니다. 본 연구실은 의료기관 내 감염 예방 및 관리 체계 구축, 감염관리감시단 운영, 표준예방지침 개발 등 의료관련감염 관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MERS 등 신종 감염병 유행 시기에는 병원 내 감염 차단을 위한 선제적 대응 전략, 감염관리 프로세스 개선, 다단계 선별진료 시스템 도입 등 다양한 실무적 연구와 정책 제안을 주도하였습니다.
감염관리감시단 활동을 통해 의료진의 감염관리 준수율, 손위생, 개인보호구 사용, 의료폐기물 관리 등 실제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감염병 유행 시 병원 내 집단발생(아웃브레이크) 대응 경험을 바탕으로, 신속한 환자 분리, 전수 검사, 역학조사, 병원 폐쇄 및 재개방 기준 등 실질적인 감염병 대응 매뉴얼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와 실무 경험은 질병관리청, 보건복지부 등 정부기관의 감염병 대응 정책 수립에 반영되고 있으며, 전국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수준 향상과 환자 안전 문화 정착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신종 감염병 및 항생제 내성균 확산에 대응하는 의료관련감염 관리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1
Monocyte distribution width (MDW) as a useful indicator for early screening of sepsis and discriminating false positive blood cultures
조성진, 김세원, 최정현, 최승필, 이제훈, 임지향
PLOS ONE, 2022
2
Interim analysis from a phase 2 randomized trial of EuCorVac-19: a recombinant protein SARS-CoV-2 RBD nanoliposome vaccine
Jonathan F. Lovell, 백영옥, 최석근, 이찬규, 이정윤, Kizutoyo Miura, Wei-Chiao Huang, 박영신, 우선제, 서상환, 김재욱, 송만기, 김충종, 최재기, 김지은, 추은주, 최정현
BMC MEDICINE, 2022
3
Improving vaccination rates in older adults and at-risk groups: focus on pertussis
최정현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2022
1
생활치료센터 입소자 대상 임상시험 체계 마련 및 수행
3
성인용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신의 유용성 평가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