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양인환 연구실

경기대학교 화학공학과

양인환 교수

Supercapacitors

Electrochemical Detection

Rechargeable Batteries

양인환 연구실

화학공학과 양인환

양인환 연구실은 신소재화학공학부를 기반으로 이동현상, 미세유체역학, 방사성 폐기물 처리, 친환경 신소재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핵심 역량은 물질, 에너지, 운동량의 전달 현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실제 산업 및 환경 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데 있습니다. 특히, 미세유체역학 분야에서는 마이크로스케일에서의 유체 흐름, 열 및 질량전달, 미세입자 분리, 에멀전 형성 등 복잡한 현상을 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해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바이오센서, 환경오염물질 제거, 신약 개발 등 다양한 첨단 산업에 응용될 수 있으며, 연구실은 관련 특허와 논문을 통해 그 성과를 입증하고 있습니다. 방사성 폐기물 처리 분야에서는 방사성 탄소, 우라늄 화합물, 사용 후 이온교환수지 등 다양한 폐기물의 안전한 처리 및 부피 감소를 위한 열처리, 산화, 가스화 공정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반응기 설계, 처리 조건 최적화, 반응 메커니즘 해석 등 기초와 응용을 아우르는 연구를 통해 경제성과 환경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 신소재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산화탄소 분리용 메조포러스 실리카 멤브레인, 고효율 전지용 전극 소재, 가스 센서 등 다양한 신소재의 합성 및 응용 연구를 통해 에너지 절감과 환경보호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양인환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기술 이전과 산업화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연구를 지속하여, 미래 신소재 및 환경공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Supercapacitors
Electrochemical Detection
Rechargeable Batteries
이동현상 및 미세유체역학
이동현상은 물질, 에너지, 운동량이 다양한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 화학공학 및 신소재공학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양인환 연구실은 특히 미세유체역학과 관련된 이동현상에 집중하여, 미세관, 마이크로튜브, 미세채널 등에서의 유체 흐름, 열전달, 물질전달 현상을 심도 있게 분석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험적 접근뿐만 아니라 수치해석 및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미세유체 시스템 내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현상을 정량적으로 규명합니다. 연구실에서는 미세유체 내에서의 층류, 점성 소산, 벽면 슬립, 유동 불안정성 등 다양한 유동 특성을 해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세입자 분리, 에멀전 형성, 열 및 질량전달 최적화 등 응용 연구를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공동 흐름 미세관 내에서의 비혼화성 액체의 유동 및 드로플릿 형성, 마이크로스케일에서의 점성 소산 효과, 그리고 미세입자 분리장치 설계 등은 대표적인 연구 주제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험적 데이터와 수치해석 결과를 상호 검증함으로써 신뢰성 높은 결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이동현상 및 미세유체역학 연구는 바이오, 환경,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세입자 분리 기술은 바이오센서, 환경오염물질 제거, 신약 개발 등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미세유체 내 열 및 질량전달 최적화는 고효율 에너지 시스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양인환 연구실은 이러한 융합적 연구를 통해 미래 신기술 창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방사성 폐기물 처리 및 친환경 소재 개발
양인환 연구실은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한 처리와 친환경 소재 개발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방사성 탄소(14C)와 같은 방사성물질이 흡착된 폐활성탄, 사용 후 이온교환수지, 우라늄 화합물 등 다양한 방사성 폐기물의 열적, 화학적 처리 공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열분해, 산화, 가스화 등 다양한 열처리 기술을 적용하여 방사성물질의 안정적 고정화 및 부피 감소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폐기물 내 방사성물질의 제거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반응기 설계, 열처리 조건 최적화, 반응 메커니즘 규명 등 기초 및 응용 연구를 병행합니다. 또한, 방사성물질의 이동 및 거동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실험적 결과와 수치해석을 결합하여 최적의 처리 공정을 도출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특허 출원 및 실제 산업 현장 적용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경제성과 환경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기술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연구실은 친환경 소재 개발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분리용 메조포러스 실리카 멤브레인, 재생 가능한 전지용 전극 소재, 고효율 가스 센서 등 다양한 신소재의 합성 및 응용 연구를 수행합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에너지 절감, 환경오염 저감, 자원 재활용 등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1
Comparisons of the acoustic radiation force of ultrasonic standing waves in half-wavelength and quarter-wavelength micro-resonators of cylindrical geometry
양인환, 김나해
ULTRASONICS, 202402
2
Fabrication of carbon-coated MnOx-Ni foam electrodes via pyrolysis of a-chitosan and their electrochemical performance
양인환, 황재영, 진준형, 장미경, 이강열
CURRENT APPLIED PHYSICS, 202203
3
Single-Phase Flow Model of a Screw Reactor for Decontamination of Radioactive Graphite Waste Using Surface Gasification
양인환
PROCESSES, 202202
1
능동형 초음파 기반 광대역 복합물질 고속 분획 기술 연구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4년 05월
2
소형 적재공간 내 5G 클라우드 기반 3온도 대응 가능한 지능형 마이크로 풀필먼트 시스템 기술 개발(2차년도)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2021년 ~ 2021년 12월
3
소형 적재공간 내 5G 클라우드 기반 3온도 대응 가능한 지능형 마이크로 풀필먼트 시스템 기술 개발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2020년 04월 ~ 2020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