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권동렬 연구실

원광대학교 한약학과

권동렬 교수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Natural Compounds

Antibiotic Synergy

권동렬 연구실

한약학과 권동렬

권동렬 연구실은 본초학을 기반으로 한약재 및 천연물의 항균, 항염증, 면역조절, 대사질환 개선 등 다양한 생리활성 연구를 선도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등 다제내성 세균에 대한 천연물 기반 항균제 및 항생제 보조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한약재 추출물 및 유효성분의 항균 활성, 항생제와의 병용 효과, 내성 억제 메커니즘 등을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한약재와 식물성 성분의 항염증 및 면역조절 효과에 대해서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대식세포, 비만세포 등 면역세포를 활용한 실험을 통해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염증 매개물질의 생성 억제, 주요 신호전달 경로의 조절, 항알레르기 및 항산화 효과 등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전통 한의학의 현대적 가치와 과학적 근거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뇨병,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등 대사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천연물 소재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흑삼, 산사, 커큐민 등 다양한 한약재의 항당뇨, 항지방간 효과를 동물모델 및 세포모델에서 검증하고, AMPK, GLUT2/4, PPARα 등 대사 관련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 변화와 관련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을 분석하여, 천연물의 대사질환 개선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연구실은 다양한 특허 출원 및 등록, 국내외 학술지 논문 발표, 산학협력 과제 수행 등을 통해 연구성과를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항균 및 항염증 활성, 대사질환 개선 효과를 가진 천연물 소재의 발굴과 기전 규명에 있어 국내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권동렬 연구실은 앞으로도 본초학을 기반으로 한약재 및 천연물의 신약 개발,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 항생제 내성 극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지속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국민 건강 증진과 한의학의 과학화·세계화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Natural Compounds
Antibiotic Synergy
본초학을 기반으로 한 항균 및 항생제 내성 연구
본 연구실은 본초학을 기반으로 천연물에서 유래한 다양한 한약재 및 식물성 성분의 항균 활성과 항생제 내성 억제 효과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과 같은 다제내성 세균에 대한 새로운 치료 대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한약재 추출물 및 유효성분을 분리·정제하고, 이들의 항균 활성 및 기존 항생제와의 병용 효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합니다. 연구실에서는 디스크 확산법, 최소저해농도(MIC) 측정, checkerboard assay, time-kill assay 등 다양한 실험기법을 활용하여 천연물의 항균 메커니즘을 규명합니다. 또한, 세포막 투과성 변화, ATPase 저해, 펩티도글리칸 결합 등 세균 내성 기전 억제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분석도 병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유전자 발현 분석(qRT-PCR), 단백질 발현 분석(Western blot) 등 첨단 분석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천연물 기반의 항균제 및 항생제 보조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고, 항생제 내성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실제로 여러 특허와 논문을 통해 다양한 한약재 및 식물성 유래 성분이 MRSA 등 내성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 및 시너지 효과를 보임을 입증하였으며, 향후 임상적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축적하고 있습니다.
천연물의 항염증 및 면역조절 활성 연구
본 연구실은 한약재 및 천연물의 항염증 효과와 면역조절 활성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전통 처방 및 개별 한약재 추출물이 대식세포, 비만세포 등 면역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IL-6, TNF-α 등) 및 염증 매개물질(NO, PGE2 등)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천연물의 항염증 작용 기전과 면역계 조절 효과를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LPS, PMA, A23187 등 다양한 염증 유도 자극제를 이용해 세포모델을 구축하고, 천연물 처리에 따른 염증 반응 억제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합니다. 또한, MAPK, NF-κB, TLR4 등 주요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 변화와 관련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을 분석하여, 천연물의 분자적 작용 기전을 심층적으로 탐구합니다. 이 과정에서 항염증 활성뿐만 아니라, 항알레르기, 항산화, 간 보호 등 다양한 생리활성도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한약재 및 천연물의 기능성 식품, 건강기능식품, 신약 개발 등 다양한 산업적 응용 가능성을 높이며, 전통 한의학의 현대적 가치와 과학적 근거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다수의 논문과 특허를 통해 천연물의 항염증 및 면역조절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향후 만성염증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감염성 질환 등 다양한 분야로의 확장이 기대됩니다.
천연물 기반 대사질환(당뇨, 비알콜성 지방간 등) 예방 및 치료 연구
본 연구실은 천연물 및 한약재를 활용한 대사질환, 특히 당뇨병과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NAFLD) 예방 및 치료 소재 개발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흑삼, 산사, 커큐민 등 다양한 한약재 및 식물성 성분의 항당뇨, 항지방간 효과를 동물모델 및 세포모델에서 검증하고, 그 분자적 작용 기전을 규명합니다. 연구실에서는 당뇨 유도 마우스 모델, 지방간 유도 마우스 모델 등 다양한 실험동물을 활용하여, 천연물 투여에 따른 혈당, 혈중 지질, 간 조직 변화,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또한, AMPK, GLUT2/4, PPARα, SREBP-1 등 대사 관련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 변화와 관련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을 분석하여, 천연물의 대사질환 개선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연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능성 식품 및 신약 개발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며, 실제로 흑삼, 산사, 커큐민 등 다양한 소재에 대한 특허와 논문을 통해 그 효능이 입증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대사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천연물 소재의 발굴과 기전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1
Combination of Sanguisorbigenin and Conventional Antibiotic Therapy for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hibition of Biofilm Formation and Alteration of Cell Membrane Permeability
권동렬, Shu Wang, Xiang Qian Liu, 강옥화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204
2
Eleutheroside K Isolated from Acanthopanax henryi (Oliv.) Harms Inhibits the Expression of Virulence-Related Exoproteins i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권동렬, 이천천, 유향전, Jiao Luo, 강옥화
CURRENT MICROBIOLOGY, 202111
3
Bisdemethoxycurcumin Reduces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Expression of Virulence-Related Exoproteins and Inhibits the Biofilm Formation
권동렬, Shu Wang, 강옥화
TOXINS, 202111
1
분자면역을 기반으로 한 지역사회 획득 MRSA 폐렴의 기전연구 및 치료물질 탐색(3차년도)
한국연구재단
2022년 03월 ~ 2023년 02월
2
분자면역을 기반으로 한 지역사회 획득 MRSA 폐렴의 기전연구 및 치료물질 탐색(2차년도)
한국연구재단
2021년 03월 ~ 2022년 02월
3
분자면역을 기반으로 한 지역사회 획득 MRSA 폐렴의 기전연구 및 치료물질 탐색
한국연구재단
2020년 06월 ~ 2021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