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최선우 교수
최선우 연구실은 전자세라믹스 및 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의 합성과 응용을 중심으로 첨단 소재 및 에너지공학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SnO2, ZnO, TiO2 등 다양한 금속산화물 나노와이어, 나노파이버, 나노입자 등의 합성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고성능 센서 및 에너지 소자 응용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화학적 방법, 화학기상증착, 전기방사 등 다양한 합성 공정을 활용하여 나노구조체의 결정성, 표면적, 계면 특성 등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대표적인 연구 분야는 고감도·고선택성 가스센서용 나노복합소재 개발입니다. SnO2, ZnO, CuO, In2O3, WO3 등 다양한 산화물과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 탄소계 나노소재를 복합화하여, NO2, CO, H2S, VOCs 등 유해가스의 정밀 검출이 가능한 감응재료를 설계합니다. 금속 나노입자 도핑, 표면 기능화, 코어-쉘 구조, p-n 이종접합 등 다양한 나노공학적 기법을 적용해 센서의 감도, 선택성, 응답속도, 내습성 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전자세라믹스의 표면/계면 반응 메커니즘, 결정립 크기 및 구조 제어, 나노복합체의 성장 원리 등 기초과학적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소재의 근본적인 물성 향상과 새로운 기능성 구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상온 동작형, 습도 무관형, 유연 기판 적용 등 실사용 환경을 고려한 혁신적 센서 플랫폼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국가 및 산업체 연구과제 수행을 통해 실용화 및 상용화 연구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전기차용 부품, 항균성 금속 도금, 임플란트 소재, 대기오염물질 관리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연구 성과를 확장하고 있으며, 관련 특허 및 기술이전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최선우 연구실은 전자세라믹스 및 나노소재 기반의 융합적 연구를 통해 차세대 에너지, 환경, 바이오, 스마트센서 산업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기초와 응용을 아우르는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의 다양한 기술적 요구에 부응하는 혁신적 소재 및 소자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