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나 연구실
화학과 김효나
김효나 연구실은 고체무기화학을 기반으로 한 첨단 소재 및 센서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고체 상태의 무기 화합물의 구조와 특성을 심도 있게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합성 방법과 응용 기술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노구조 무기 소재의 표면 특성과 그에 따른 물리·화학적 거동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혁신적인 소재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또 다른 핵심 분야는 탄소나노튜브(CNT)를 활용한 고정밀 센서 개발입니다. CNT의 우수한 특성을 활용하여, Quartz Crystal Microbalance(QCM) 기반의 센서의 민감도와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센서는 액체 내 이온 농도 측정 등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김효나 연구실의 연구는 에너지 저장, 환경 모니터링, 반도체 공정 등 다양한 분야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응용 가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고체무기화학과 나노소재 공학의 융합을 통해, 기존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능성 소재의 창출에 힘쓰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험적 연구뿐만 아니라, 이론적 분석과 시뮬레이션을 병행하여 연구의 깊이와 폭을 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소재의 미세 구조와 거동을 정밀하게 이해하고,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 발전시키고자 합니다.
앞으로도 김효나 연구실은 고체무기화학과 나노소재 기반 센서 기술의 혁신을 선도하며, 학문적 성과와 산업적 응용을 동시에 추구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입니다.
고체무기화학의 첨단 응용
고체무기화학은 고체 상태의 무기 화합물의 구조, 성질, 합성 및 응용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김효나 연구실에서는 고체무기화학의 이론적 기반을 바탕으로, 다양한 무기 소재의 특성 분석과 새로운 합성 방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노구조를 갖는 무기 화합물의 표면 특성과 그에 따른 물리적, 화학적 거동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에너지 저장, 촉매,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실용적 응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체무기화학을 활용한 신소재 개발은 전자기적 특성이 우수한 소재를 구현하거나, 환경 친화적인 촉매를 설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무기 나노소재의 합성과 제어 기술은 차세대 전자소자 및 센서 개발에 필수적인 기반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김효나 연구실은 고체무기화학의 응용 가능성을 넓히기 위해 다양한 융합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능성 소재의 창출 및 산업적 활용을 위한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도출하고자 합니다.
탄소나노튜브 기반 고정밀 센서 개발
탄소나노튜브(CNT)는 우수한 전기적, 기계적,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센서 기술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김효나 연구실에서는 CNT를 이용한 고정밀 센서, 특히 Quartz Crystal Microbalance(QCM) 기반의 센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CNT를 QCM 표면에 코팅함으로써, 센서의 민감도와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CNT-QCM 센서는 액체 내 이온 농도, 즉 염분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로, 기존 QCM이 액체 환경에서 겪는 한계(복잡한 유체 운동, 커피링 효과 등)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CNT 코팅은 QCM 표면에 나노미터 수준의 거칠기를 부여하여, 이온 입자의 핵생성과 부착 특성을 조절할 수 있게 합니다. 이를 통해 센서의 질량 감지 범위와 해상도를 크게 높이고, 안정적인 동작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고정밀 센서 기술은 수질 모니터링, 반도체 공정 내 액체 이온 농도 감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김효나 연구실은 CNT-QCM 센서의 성능 개선과 상용화를 목표로, 소재 공학과 센서 시스템 통합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1
High Precision Liquid Salinity Sensing using a CNT coated Quartz Crystal Microbalance
IEEE Sensors Journal, 202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