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익대학교 나노신소재학과 조지웅 교수
조지웅 연구실은 나노신소재학과를 기반으로 자성재료, 이차전지, 에너지 저장 소재, 수소 발생 촉매 등 첨단 나노소재의 합성 및 응용에 관한 융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전기도금, 나노임프린트, 펄스 전기도금 등 다양한 나노가공 및 합성 기술을 활용하여, 자성 나노와이어, 나노디스크, 멀티레이어 구조체 등 고성능 자성재료를 개발하고, 이들의 자기적 특성, 구조적 특성, 전기적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자성재료 및 자기터널접합(MTJ) 기술은 차세대 메모리(MRAM), 자기센서, 바이오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본 연구실은 스핀전달토크(STT) 기반 MRAM, 하이브리드 프리레이어, 터널 장벽 소재 최적화 등 실용화에 가까운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기이방성, 자기이력, 스핀트로닉스 현상 등 나노자성체의 근본 물리 현상에 대한 이론적·실험적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차전지 및 에너지 저장 소재 분야에서는 리튬이온전지, 고체전지, 바이오분해성 배터리 등 차세대 전지용 나노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전이금속 산화물, 황화물, 인화물 등 다양한 전극 소재의 합성, 계면 제어,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을 통해 고용량, 고출력, 장수명, 고안정성 전지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국가 연구개발 프로젝트와 연계하여 고분해능 분석장치 개발, 고흑연화도 인조흑연 제조 등 실용화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수소 발생 및 촉매 소재 분야에서는 전이금속 인화물, 황화물, 텔루라이드 등 2차원 및 나노구조 촉매의 합성과 HER(수소 발생 반응) 촉매 성능 향상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촉매의 활성점 제어, 계면 공학, 결함 공학, 합성 조건 최적화 등을 통해 저비용·고효율·내구성 우수한 촉매를 개발하고, 이론적 계산과 실험을 병행하여 촉매 반응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나노구조 기반의 센서, 바이오소재, 환경 정화 소재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수행하며, 국내외 특허 출원, 산학협력, 기술이전 등 실용화 및 산업적 파급효과 창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조지웅 연구실은 나노신소재 분야의 기초와 응용을 아우르는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지향하며, 미래 첨단 소재 산업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