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호 연구실
정보통신공학과 유동호
유동호 연구실은 정보통신공학 분야에서 이동통신, 위성통신, 실감 미디어 전송, 사물인터넷(IoT), 엣지 컴퓨팅 등 첨단 네트워크 기술을 선도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무선 및 위성 환경에서의 고품질 미디어 전송, 특히 3D 입체영상, 자유시점 방송, 360도 VR/AR 등 차세대 실감 미디어 서비스의 실현을 위한 핵심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계층변조, 네트워크 코딩, 비균등 오류 보호 등 다양한 전송 및 복원 기술을 통해, 제한된 무선 자원에서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연구실은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대규모 이기종 디바이스 연결성과 데이터 전송 신뢰성, 에너지 효율성 향상을 위한 혁신적인 네트워크 코딩 및 엣지 컴퓨팅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Random Linear Network Coding(RLNC), Fulcrum 코드, MEC, Fog Computing 등 최신 네트워크 이론과 실용적 시스템을 결합하여, IoT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와 대용량 미디어 서비스의 지연 최소화, 네트워크 트래픽 분산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ATSC 3.0 등 차세대 방송 표준과 연계된 실감 미디어 전송 시스템, 멀티뷰 비디오 및 자유시점 영상의 효율적 스트리밍, 선박 내 다중 단말 간 직접통신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관련 특허와 프로젝트를 다수 수행하며, 국내외 학술지 및 학회에서 우수 논문상 등 다양한 수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IoT 기반 카메라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표출 시스템, 원격 제어, 간접 광고 및 판매 서비스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마트 환경 구현을 위한 응용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선박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미래 정보통신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유동호 연구실은 이론과 실용을 아우르는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차세대 네트워크 및 미디어 서비스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정보통신공학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나갈 것입니다.
이동통신 및 위성통신 기반 실감 미디어 전송 기술
유동호 연구실은 이동통신과 위성통신 환경에서 실감 미디어, 특히 3D 입체영상 및 자유시점 방송과 같은 차세대 미디어의 효율적이고 신뢰성 높은 전송 기술을 연구합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무선 채널 환경, 예를 들어 해양, 선박, 차량 등 이동성이 높은 환경에서도 고품질의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계층변조, 네트워크 코딩, 비균등 오류 보호 기법 등을 개발해왔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실시간 방송, 360도 VR, AR 등 실감형 미디어의 대중화와 서비스 품질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특히, 계층 16QAM, 64QAM 등 다양한 계층변조 방식을 활용하여,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차별화된 오류 보호를 제공함으로써, 제한된 무선 자원에서도 안정적으로 고화질 미디어를 전송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또한, 네트워크 코딩과 결합된 전송 방식은 비대칭 데이터율 환경에서도 효율적인 데이터 분배와 복원력을 보장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선박 내 콘텐츠 분배, 이동형 방송, 개인 스마트기기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ATSC 3.0 등 차세대 방송 표준과의 연동, 자유시점 영상, 멀티뷰 비디오, 실시간 스트리밍 등 다양한 실감 미디어 서비스의 실현을 위해 관련 특허와 프로젝트를 다수 수행하였으며, 국내외 학술지와 학회에서 우수 논문상을 수상하는 등 학문적, 산업적 성과를 꾸준히 창출하고 있습니다.
사물인터넷(IoT) 및 엣지 컴퓨팅 기반 네트워크 혁신
본 연구실은 사물인터넷(IoT) 환경에서의 대규모 이기종 디바이스 연결성과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혁신 기술을 연구합니다. IoT 기기들은 계산 능력과 에너지 자원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과 에너지 효율성, 지연 최소화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연구실은 Random Linear Network Coding(RLNC), Fulcrum 코드 등 첨단 네트워크 코딩 기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IoT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전송 신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제시합니다.
또한, MEC(Multi-access Edge Computing), Fog Computing 등 엣지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여, 네트워크의 말단에서 데이터 처리와 캐싱을 분산함으로써, 대용량 실감 미디어 서비스와 IoT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를 지원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AR/VR, 360도 영상, 자유시점 방송 등 데이터 집약적 서비스의 지연을 최소화하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연구실은 MEC와 단말의 연합 자원 활용, 오프로드 및 캐싱 전략 등 다양한 엣지 기반 네트워크 구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실제 환경에서의 성능 평가를 통해 실용적인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IoT 기반 카메라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표출, 원격 제어, 간접 광고 및 판매 서비스 등 다양한 응용 시스템에 대한 특허와 연구를 진행하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마트 환경 구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1
X-MAN: A Non-Intrusive Power Manager for Energy-Adaptive Cloud-Native Network Functions
Xiang Zuo, Hoeweler Malte, You Dongho, Reisslein Martin, Fitzek Frank H. P.
IEEE TRANSACTIONS ON NETWORK AND SERVICE MANAGEMENT, 202206
2
SpaRec: Sparse Systematic RLNC Recoding in Multi-Hop Networks
Tasdemir Elif, Toemoeskoezi Mate, Cabrera Juan A., Gabriel Frank, You Dongho, Fitzek Frank H. P., Reisslein Martin
IEEE ACCESS, 2021
3
ATSC 3.0 ROUTE/DASH Signaling for Immersive Media: New Perspectives and Examples
You Dongho, Kim Sung-Hoon, Kim Dong Ho
IEEE ACCESS, 2021
1
IP 통신망기반 융합형 3DTV 서비스 시그널링 파라미터 정의에 관한 연구
2
시청자 이동형 자유시점 360VR 실감미디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설계 및 기반기술 연구
3
제작 편리성과 실감 시청 체험 극대화를 위한 개인방송 제작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