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heon Kim Laboratory
화학과 김자헌
Jaheon Kim Laboratory는 전이금속화학을 기반으로 한 금속-유기 골격체(MOF) 및 제올라이트-이미다졸레이트 프레임워크(ZIF)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전이금속 이온과 유기 리간드를 활용하여 새로운 다공성 구조체를 설계하고, 이들의 합성, 구조 분석, 기능화에 이르는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저온 및 다양한 용매 조건에서의 합성법, 메조기공 조절 기술, 혼합 금속 시스템 개발 등 혁신적인 방법론을 통해 기존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는 기체 저장 및 분리 응용을 위한 소재 개발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수소,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아세틸렌 등 다양한 기체의 선택적 흡착 및 저장을 위한 MOF와 ZIF의 구조적·화학적 기능화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포스트-합성 변형, 기능기 도입, 금속 이온 조성 변화 등 다양한 전략을 적용하여 소재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실제 산업적 적용을 고려한 멤브레인 개발, 고온·고압 환경에서의 기체 분리 효율 향상 등 실용적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실험적 접근과 이론적 모델링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소재의 구조-기능 상관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소재의 기초적 특성뿐만 아니라, 실제 응용에서 요구되는 내구성, 재생 가능성, 경제성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특허 출원, 산학협력, 정부 및 산업체 지원 프로젝트 등 다양한 외부 협력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연구 성과의 사회적 확산과 실용화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대표적 성과로는 고성능 기체 저장 및 분리 소재 개발, 새로운 위상의 MOF/ZIF 합성, 기능성 멤브레인 제작, 촉매 및 센서 응용 소재 개발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에너지 저장, 환경 정화, 청정 연료 생산, 온실가스 저감 등 다양한 사회적 이슈 해결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원천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Jaheon Kim Laboratory는 전이금속화학과 다공성 소재 분야의 융합 연구를 통해, 차세대 에너지 및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소재 개발에 매진할 계획입니다.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학문적 성과와 실용적 가치를 동시에 실현하는 연구실로 성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Metal-Organic Frameworks
Gas Storage
CO2 Absorption
전이금속 기반 금속-유기 골격체(MOF) 및 제올라이트-이미다졸레이트 프레임워크(ZIF) 연구
본 연구실은 전이금속을 중심으로 한 금속-유기 골격체(MOF) 및 제올라이트-이미다졸레이트 프레임워크(ZIF)의 합성과 구조적 특성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양한 전이금속 이온과 유기 리간드를 조합하여 새로운 다공성 구조체를 설계하고, 이들의 결정 구조를 단결정 X-선 회절, 분광학적 분석 등 첨단 분석기법을 통해 규명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의 다공성 물질이 갖지 못한 독특한 위상과 물성을 지닌 신소재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본 연구실은 저온 및 다양한 용매 조건에서 금속 이온과 이미다졸 유도체의 반응을 조절하여 새로운 형태의 ZIF를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1차원 세공을 갖는 구조, 메조기공의 크기와 부피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술, 그리고 다양한 금속 조합을 통한 혼합 금속 MOF의 합성 등 혁신적인 합성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특허로도 이어지고 있으며, 실제 산업적 응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전이금속 기반 MOF 및 ZIF 연구는 기체 저장, 분리, 촉매,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는 신소재의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구조적 유연성, 안정성, 기능성의 향상을 목표로 하여, 차세대 에너지 및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소재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기체 저장 및 분리 응용을 위한 다공성 소재의 설계와 기능화
본 연구실은 수소,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등 다양한 기체의 저장 및 선택적 분리를 위한 다공성 소재의 설계와 기능화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MOF와 ZIF의 미세 구조와 표면 특성을 조절하여, 기체의 흡착 용량과 선택성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체 분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유기 리간드의 기능기 도입, 금속 이온의 종류 및 조성 변화, 포스트-합성 변형(post-synthetic modification) 등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고온에서도 효과적으로 수소 동위원소를 분리할 수 있는 구리 기반 ZIF, 그래핀 옥사이드(GO) 코팅 및 원자층 증착(ALD) 기술을 활용한 고성능 ZIF-8 멤브레인 개발 등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또한, 암모니아, 아세틸렌, 이산화탄소 등 환경 및 에너지 관련 기체의 선택적 흡착과 재생 가능성을 갖춘 소재를 개발하여, 실질적인 산업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체 저장 및 분리 기술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친환경 에너지 저장, 온실가스 저감, 청정 연료 생산 등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핵심 원천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험적 연구와 이론적 모델링을 병행하여, 소재의 구조-기능 상관관계를 심도 있게 분석하고, 새로운 응용 분야를 지속적으로 개척하고 있습니다.
1
Lattice-driven gating in a Cu-based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 for efficient high-temperature hydrogen isotope separation
김자헌
NATURE COMMUNICATIONS, 202502
2
Controlled Growth of ZIF-8 Membranes on GO-Coated α-Alumina Supports via ZnO Atomic Layer Deposition for Improved Gas Separation
김자헌
MEMBRANES, 202410
3
Porous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s assembled with highly-flattened tetrahedral copper(ii) centres and 2-nitroimidazolates
김자헌
CHEMICAL COMMUNICATIONS, 202303
1
다공성 금속-이미다졸 골격체의 구조 및 전체 유연성 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