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승범 연구실
의과대(임상교실) 한승범
한승범 연구실은 정형외과 분야에서 고관절 및 슬관절을 중심으로 한 인공관절 치환술, 골절 치료, 퇴행성 관절염 관리 등 근골격계 질환의 임상적 최적화와 혁신적 치료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대규모 건강보험 청구 데이터와 임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관절 및 슬관절 인공관절 치환술의 임상 결과와 합병증, 위험인자 분석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 맞춤형 수술 전략과 사전·사후 관리 방안을 제시하며, 수혈 관리, 혈액 손실 최소화, 감염 예방 등 환자 예후 개선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슬관절 및 고관절의 퇴행성 관절염, 골절(특히 고령 환자의 대퇴골 경부 및 전자간부 골절 등) 치료 전략과 예후 예측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고령 환자 및 만성질환 동반 환자에서의 수술 후 사망률, 합병증 발생 위험인자 분석, 수술 방법별 임상 결과 비교, 그리고 내과적 요인(골다공증, 저알부민혈증 등)이 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습니다. 비수술적 치료법(히알루론산 주사, 한방 복합제제, 운동치료 등)의 효과와 안전성, 수술 시기 결정에 관한 연구도 병행하여 임상 현장에서의 치료 선택에 실질적인 근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인공관절 및 임플란트의 혁신적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생체모방형 표면처리기술을 적용한 맞춤형 인공관절 및 임플란트의 설계, 제조, 임상적 유효성 평가를 통해 내구성, 생체적합성, 골유합력 등을 향상시키고, 환자별 해부학적 특성에 맞는 맞춤형 임플란트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산학연 협력과 특허 출원을 통해 실제 임상 적용이 가능한 신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인공관절 수술 후 감염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 및 영상 진단의 정확성 향상, 수술 후 조기 회복을 위한 약물 및 재료의 효과 검증, 수혈 및 혈액 관리 프로토콜 개발 등 근골격계 질환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의료비 절감에 기여하는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한승범 연구실은 임상 현장에서의 실질적 문제 해결과 미래 지향적 치료법 개발을 동시에 추구하며, 고령화 사회에서 증가하는 근골격계 질환 환자들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고관절 및 슬관절 인공관절 치환술의 임상적 최적화
본 연구실은 고관절 및 슬관절 인공관절 치환술의 임상적 결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관절 및 슬관절 치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예: 감염, 혈전, 출혈, 인공관절 주위 골절 등)의 위험인자 분석과 예방, 그리고 수술 기법의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대규모 건강보험 청구 데이터와 임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환자군별 위험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수술 전략 및 사전·사후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관절 치환술에서의 수혈 관리, 혈액 손실 최소화, 수술 후 조기 회복을 위한 약물 및 재료(예: 트라넥사믹산, 본왁스 등)의 효과를 다각적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수혈률 감소, 감염률 저하, 입원 기간 단축 등 환자 예후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관절 수술 후 감염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D-dimer, CRP 등) 및 영상 진단의 정확성 향상에도 연구의 폭을 넓히고 있습니다.
이러한 임상적 최적화 연구는 인공관절 수술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고령화 사회에서 증가하는 인공관절 수술 환자들의 삶의 질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퇴행성 관절염 및 골절의 치료 전략과 예후 예측
연구실은 슬관절 및 고관절의 퇴행성 관절염, 골절(특히 대퇴골 경부, 전자간부, 비구 등)의 치료 전략 개발과 예후 예측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고령 환자에서의 고관절 골절 수술 후 사망률, 합병증(폐렴, 급성 신손상 등) 발생 위험인자 분석, 그리고 수술 방법(예: 내고정, 인공관절 치환술, 골이식 등)에 따른 장·단기 임상 결과를 체계적으로 비교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규모 후향적 코호트 연구와 메타분석을 통해 고령 환자, 만성질환 동반 환자(예: COPD, 신질환 등)에서의 수술 후 예후를 예측하고, 위험군 환자에 대한 맞춤형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골다공증, 비타민 D 결핍, 수혈, 저알부민혈증 등 다양한 내과적 요인이 골절 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수술 전후 환자 평가 및 관리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슬관절 및 고관절의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서 비수술적 치료(예: 히알루론산 주사, 한방 복합제제, 운동치료 등)의 효과와 안전성, 수술 시기 결정에 관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임상 현장에서 환자별 최적 치료법 선택과 예후 예측 정확도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정형외과적 인공관절 및 임플란트의 혁신적 개발
본 연구실은 임상의 수요에 맞춘 차세대 인공 고관절 및 슬관절 시스템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생체모방형 표면처리기술을 적용한 맞춤형 인공관절 및 임플란트의 설계 및 제조, 그리고 그 임상적 유효성 평가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이를 통해 인공관절의 내구성, 생체적합성, 골유합력 등을 향상시키고, 환자별 해부학적 특성에 맞는 맞춤형 임플란트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허 출원 및 산학연 협력을 통해 실제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신기술을 개발하고, 다양한 재료(금속, 세라믹 등)와 표면처리 방법의 효과를 실험적·임상적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관절 수술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예: 골용해, 임플란트 주위 감염, 이완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적·기능적 개선 방안도 연구의 주요 주제입니다.
이러한 혁신적 인공관절 및 임플란트 개발 연구는 고령화 및 만성질환 환자 증가에 대응하여, 장기적으로 우수한 임상 결과와 환자 만족도를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Postoperative Patient-Reported Pain and Opioid Consumption After Total Hip Arthroplasty: A Propensity Score-Matched Comparison of the Direct Superior and Posterior Approaches
한승범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202503
2
Trends and mortality in hip fracture surgery among octogenarians, nonagenarians, and centenarians: high postoperative mortality in centenarians despite few comorbidities
한승범
INJURY-INTERNATIONAL JOURNAL OF THE CARE OF THE INJURED, 202503
3
Efficacy and safety of SKCPT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A multicenter, randomized, double-blinded, active-controlled phase III clinical trial
한승범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2501
1
생체모방형 표면처리기술 기반의 임상의 수요 맞춤형 인공 고관절 및 슬관절 시스템 개발
2
슬관절 골관절염의 병기(켈그렌-로렌스 등급)판정 및 심사평가원 심사지원시스템 구축을 위한 AI융합 의료영상 진료판독 시스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