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alysis for Energy & Environment Lab
응용화학공학과 김성탁
Catalysis for Energy & Environment Lab(충남대학교 촉매반응공학 실험실)은 에너지와 환경 분야의 혁신적인 촉매 및 공정 기술 개발을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수소에너지 생산, 정제, 저장 및 활용을 위한 첨단 촉매와 반응 시스템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메탄올 증기 개질, 수전해, 연료전지 등 다양한 수소 생산 및 활용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효율 산소 제거 촉매와 내구성 높은 분리판 소재 개발을 통해 수소의 안전한 생산과 저장, 그리고 연료전지 응용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CO2, CH4 등)의 전환 및 활용을 위한 촉매공학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산화탄소 및 메탄을 유용한 화학물질이나 연료로 전환하는 혁신적인 촉매 시스템을 개발하고, 반응 메커니즘 분석 및 반응 조건 최적화를 통해 탄소중립 실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온실가스 저감뿐만 아니라, 산업적 부산물의 자원화와 친환경 화학공정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또한, 폐플라스틱 및 바이오매스의 자원화와 에너지 전환을 위한 연구도 본 연구실의 주요 분야 중 하나입니다. 폐플라스틱의 열분해 및 촉매 전환을 통한 고부가가치 연료 및 윤활기유 생산, 바이오매스의 촉매 전환을 통한 바이오연료 및 화학제품 생산 등 자원순환과 에너지 자립을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폐자원으로부터 촉매 합성 원료를 추출하고, 이를 활용한 제올라이트 합성 등 소재 개발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제올라이트, 금속 나노촉매 등 다양한 촉매 소재의 합성, 구조 제어, 표면 특성 분석 및 반응 메커니즘 규명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첨단 분광분석법과 이론적 연구를 통해 촉매의 구조와 성능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실제 공정에 적용 가능한 촉매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수소 생산, 온실가스 전환, 바이오매스 및 폐플라스틱 자원화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Catalysis for Energy & Environment Lab은 국가 에너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에너지 전환과 환경보호, 자원순환 등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혁신적인 촉매 및 공정 기술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에너지와 환경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술 혁신에 기여할 것입니다.
Catalytic Reaction Engineering
Green Hydrogen Production
Zeolite Materials
수소에너지 생산 및 정제 기술
수소에너지는 미래의 청정 에너지로 각광받으며, 본 연구실에서는 수소의 생산, 정제, 저장 및 활용 기술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메탄올 증기 개질, 수전해, 연료전지 등 다양한 수소 생산 방법에 적합한 고효율 촉매 개발과 반응 시스템 최적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수소 생산 공정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수소의 정제 과정에서는 고순도 수소를 얻기 위한 산소 제거 촉매 및 디옥소 촉매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고농도 수소 스트림에서 산소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촉매 및 반응기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 수전해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내구성 높은 분리판 소재와 촉매의 상용화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수소의 안전한 생산과 저장, 그리고 연료전지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본 연구실의 수소에너지 연구는 국가 에너지 정책과 연계되어, 그린수소 생산, 온실가스 저감, 친환경 연료 개발 등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수소에너지의 상용화와 대중화를 위한 혁신적인 촉매 및 공정 기술 개발에 매진할 계획입니다.
온실가스 전환 및 활용을 위한 촉매공학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온실가스(CO2, CH4 등)의 전환 및 활용 기술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이산화탄소 및 메탄 등 온실가스를 유용한 화학물질이나 연료로 전환하는 촉매 및 반응공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CO2를 메탄, 메탄올,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등으로 전환하는 다양한 촉매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온실가스 전환 반응은 높은 활성과 선택성을 갖는 촉매 개발이 필수적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금속 촉매, 제올라이트 기반 촉매, 나노촉매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반응 효율을 극대화하고, 반응 메커니즘을 심도 있게 분석합니다. 또한, 촉매의 내구성 향상과 재생 가능성, 반응 조건 최적화 등 실용화에 필요한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온실가스 저감뿐만 아니라, 산업적 부산물의 자원화, 친환경 화학공정 개발, 에너지 전환 등 여러 분야에 파급효과를 미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온실가스의 효율적 활용과 저감을 위한 혁신적인 촉매 및 공정 기술 개발에 앞장설 것입니다.
폐플라스틱 및 바이오매스의 자원화와 에너지 전환
현대 사회에서 폐플라스틱과 바이오매스의 처리 및 자원화는 환경보호와 지속가능한 에너지 확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 본 연구실은 폐플라스틱의 열분해 및 촉매 전환을 통한 고부가가치 연료 및 윤활기유 생산, 바이오매스의 촉매 전환을 통한 바이오연료 및 화학제품 생산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폐플라스틱의 연속식 열분해 공정과 촉매 수첨 반응을 결합하여 고품질의 경질유 및 윤활기유를 생산하는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가스 및 식물성 오일 등 다양한 바이오매스를 활용하여 바이오항공유, 바이오디젤 등 차세대 친환경 연료를 생산하는 통합공정 기술도 연구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자원순환과 에너지 전환의 핵심 기술로, 환경오염 저감과 에너지 자립에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폐자원으로부터 촉매 합성 원료를 추출하고, 이를 활용한 제올라이트 합성 등 소재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폐플라스틱 및 바이오매스의 효율적 자원화와 에너지 전환을 위한 혁신적인 촉매 및 공정 기술 개발에 지속적으로 매진할 계획입니다.
1
Oxygen Removal Performance of M/γ-Al2O3 Catalyst through H2-O2 Recombination Reaction and the Effect of Oxygen Vacancies on the Catalyst
, 1970
2
Effects of reaction conditions on composition of the organic liquid product during the deoxygenation process of palm oil
Sungtak Kim, Jeong Hee Jang, Minhwei Ahn, Yeonsu Kwak, Gi Bo Han, Byung Hun Jeong, Jeong Sik Han
Journal of Korean Oil Chemists' Society, 2018
3
Effects of operating conditions on reaction characteristics in the hydro-upgrading process of n-paraffin mixtures for vegetable oil-based bio-jet fuel production
Yeonsu Kwak, Jung Hee Jang, Sungtak Kim, Minhwei Ahn, Gi Bo Han, Byung Hun Jeong, Jeong Sik Han
Journal of Korean Oil Chemists' Society, 2018
1
바이오가스로부터 바이오연료 직접생산을 위한 고활성/고안정성 촉매 개발
2
재생에너지 기반 알칼라인 수전해 장치 고안전성 확보를 위한 핵심기술 개발 및 실증
3
차세대 수첨 바이오연료 생산과 업그레이딩 통합공정 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