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no Photonics System
나노과학기술대학 김창석
나노포토닉스시스템 연구실은 나노광학, 바이오포토닉스, 광센서, 광학 이미징, 인지과학 등 다양한 첨단 융합 연구를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나노미터 크기의 광학 소자와 구조물을 활용하여 생체 신호, 환경 변화, 물질 특성 등을 정밀하게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차세대 센서 및 이미징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노센서 및 액추에이터, 광섬유 센싱, 광학 PCB, 바이오포토닉스 시스템 등 다양한 광학적 접근법을 통해 의료, 환경,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광학 이미징 분야에서는 광간섭단층촬영(OCT), 광음향현미경(PAM), 광섬유 기반 라이다(LiDAR) 등 첨단 이미징 시스템을 개발하여 미세 구조의 3차원 이미징, 생체 조직의 비침습적 진단, 산업용 정밀 계측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능동 모드 잠금 파장가변 레이저, 라만 광원, 다중 파장 광원 등 독자적인 광원 기술을 바탕으로 기존 대비 빠르고 넓은 영역을 고해상도로 이미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 및 딥러닝 기반의 신호 및 이미지 분석 기술을 접목하여 데이터 해석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인지과학 및 뇌신경 신호처리 분야에서는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fNIRS), 광학 뇌영상, 뇌 신호처리 및 인공지능 기반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뇌의 구조적·기능적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인지 장애, 신경 질환, 뇌졸중 등 다양한 뇌 관련 질환의 조기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다채널, 다파장 기반의 뇌영상 시스템 개발과 더불어, 딥러닝 및 신경망 알고리즘을 접목하여 뇌 신호의 복잡한 패턴을 효과적으로 분류하고 예측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본 연구실은 광전자기계시스템, 스마트 구조 센서, 광학 신호처리, 멀티스펙트럴 및 하이퍼스펙트럴 이미징, 나노바이오 융합소재 개발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유수의 연구기관 및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실용화 및 상용화 연구도 활발히 추진하고 있으며, 차세대 의료기기, 웨어러블 헬스케어, 자율주행, 스마트 환경 센서 등 미래 산업의 핵심 원천기술 확보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나노포토닉스시스템 연구실은 나노광학 기술과 바이오, 의공학, 인지과학, 데이터사이언스 등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인간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를 통해 글로벌 리더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Photoacoustic Imaging
Electro-Optic Wavelength Swept Laser
LiDAR Technology
나노광학 기반 바이오포토닉스 및 광센서 기술
나노광학 기반 바이오포토닉스 및 광센서 기술은 나노미터 크기의 광학 소자와 구조물을 활용하여 생체 신호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이미징하는 첨단 연구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나노센서와 액추에이터 기술, 광섬유 센싱, 바이오포토닉 시스템 등 다양한 광학적 접근법을 통해 생체 내외부의 미세 신호를 감지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광섬유 기반의 센서와 광학 PCB, 광학 통신 기술을 융합하여 고감도, 고정밀의 센싱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의료 진단, 환경 모니터링, 식품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생체 신호 측정, 나노구조 기반의 바이오센서 개발, 광학적 신호 처리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한 질병 조기 진단 등이 대표적인 응용 사례입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및 딥러닝 기법과 결합하여 센서 데이터의 해석 정확도를 높이고, 복잡한 생체 환경에서도 신뢰성 있는 측정이 가능하도록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바이오포토닉스 및 광센서 연구는 차세대 의료기기, 웨어러블 헬스케어, 스마트 환경 센서 등 미래 산업의 핵심 원천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나노광학 기술과 바이오 융합 연구를 통해 인간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으며, 국내외 산학연 협력을 통해 실용화 및 상용화 연구도 활발히 추진 중입니다.
광학 이미징 및 광전자기계시스템(OCT, PAM, LiDAR 등)
광학 이미징 및 광전자기계시스템 분야는 빛의 파장, 위상, 세기, 시간 정보를 정밀하게 제어하고 분석하여 다양한 물리적·생물학적 현상을 시각화하는 기술을 연구합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광간섭단층촬영(OCT), 광음향현미경(PAM), 광섬유 기반 라이다(LiDAR) 등 첨단 광학 이미징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들 시스템은 미세 구조의 3차원 이미징, 생체 조직의 비침습적 진단, 산업용 정밀 계측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능동 모드 잠금 파장가변 레이저, 라만 광원, 다중 파장 광원 등 독자적인 광원 기술을 바탕으로 기존 대비 빠르고 넓은 영역을 고해상도로 이미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또한, 광학 신호의 실시간 처리, 인공지능 기반 이미지 분석, 멀티스펙트럴 및 하이퍼스펙트럴 이미징 등 다양한 신기술을 접목하여 의료, 생명과학, 재료공학, 예술품 감정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치의학, 안과, 신경과학 등 의료 영상 진단 분야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차용 LiDAR, 산업용 비파괴 검사, 예술품 진위 감정 등 사회 전반에 걸쳐 파급력이 큽니다. 본 연구실은 국내외 유수의 연구기관 및 기업과 협력하여 광학 이미징 및 광전자기계시스템의 실용화와 상용화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인지과학 및 뇌신경 신호처리 융합 연구
인지과학 및 뇌신경 신호처리 융합 연구는 인간의 인지 기능과 뇌 활동을 정밀하게 측정하고 해석하는 첨단 융합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fNIRS), 광학 뇌영상, 뇌 신호처리 및 인공지능 기반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뇌의 구조적·기능적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인지 장애, 신경 질환, 뇌졸중 등 다양한 뇌 관련 질환의 조기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다채널, 다파장 기반의 뇌영상 시스템 개발과 더불어, 딥러닝 및 신경망 알고리즘을 접목하여 뇌 신호의 복잡한 패턴을 효과적으로 분류하고 예측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알츠하이머병 조기 진단을 위한 해마 위축 분석, 청각 피질의 소리 범주 인식, 뇌혈류 및 산소대사 변화의 정량적 측정 등 다양한 임상 및 기초 연구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지과학 및 뇌신경 신호처리 연구는 미래형 뇌-기계 인터페이스, 인공지능 기반 뇌질환 진단, 신경재활, 스마트 헬스케어 등 차세대 융합기술의 핵심을 이루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의공학, 광학, 신경과학, 데이터사이언스 등 다양한 분야와의 협력을 통해 뇌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1
Phase-Locked Time-Stretch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or Contrast-Enhanced Retinal Microangiography
이휘돈, 엄태중, 김창석, 김형회, 박성진, 신준근, 김경훈
IEEE TRANSACTIONS ON MEDICAL IMAGING, 202503
2
Sex-specific effects of apolipoprotein E ε4 genotype on longitudinal hippocampal atrophy in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over a 2-year evaluation period
김학진, 이병대, 최경운, 김창석, 이영민, 문은수, 박경준, 서화규, 김경원, 박창현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202502
3
Surface Measurement of Diverse Targets Using Flexibly Controllable Line-Field Mach-Zehnder Interferometry
Nguyen Thanh P, 김경훈, 김창석, 이휘돈, 김재흥, 박상민
IEEE TRANSACTIONS ON INSTRUMENTATION AND MEASUREMENT, 202502
1
[RIS]자율과제_지역 청년 바이오헬스 창업/취업 활성화를 위한 의학-공학 인터버시티 구축
2
[BRIDGE 3.0]실용화개발지원과제_자율주행 LiDAR용 레이저 펄스 모듈화 개발
3
(이지바로) (2단계) 초고속 광학 진단 및 수술용 전 광 파장가변 레이저 모듈 상용화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