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부 강병훈 교수
Cyber Security Systems Research Lab(사이버 보안 시스템 연구실)은 KAIST 전산학부 소속으로, 시스템 보안, 커널 보안, 악성코드 분석, 인공지능 기반 보안, 클라우드 및 컨테이너 보안 등 다양한 첨단 정보보호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적 보안 기술 개발을 통해, 실제 산업 및 사회에 적용 가능한 실질적 보안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대표적인 연구 분야는 하드웨어 기반 커널 무결성 모니터링, 신뢰 실행 환경(TEE) 및 ARM TrustZone, Intel SGX 등 최신 하드웨어 보안 기술을 활용한 시스템 보호입니다. Vigilare, KI-Mon, S-Mon 등 다양한 커널 무결성 감시 시스템을 개발하여, 루트킷 및 커널 공격에 대한 실시간 탐지와 방어 기술을 선도적으로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커널 확장 모듈의 격리, 동적 주소 변환 공격 방어, 시스템 콜 필터링 등 최신 위협에 대응하는 새로운 아키텍처와 방어 기법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악성코드 분석 및 인공지능 기반 보안 분야에서도 연구실은 AI-HydRa, The Image Game 등 딥러닝과 머신러닝을 결합한 첨단 악성코드 탐지 모델을 개발하여, 기존 탐지 기법 대비 높은 탐지율과 낮은 오탐율을 달성하였습니다. 네트워크 트래픽 기반 스팸 및 악성 URL 탐지, 봇넷 구조 분석, 에뮬레이션 탐지 등 다양한 악성 행위 분석 기술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분류기의 신뢰성 평가, 예측 오류 추적, 실시간 악성코드 탐지 자동화 등 차세대 보안 기술로 연구 범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및 컨테이너 환경 보안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Optimus와 같은 시스템 콜 필터링 기술을 통해 컨테이너의 공격 표면을 최소화하고, 신뢰 실행 환경 기반의 클라우드 보안, 데이터 무결성 및 프라이버시 보호, 클라우드 내 악성코드 탐지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하드웨어 신뢰성 강화, 분산 아키텍처 시뮬레이션, 보안 취약점 자동 분석 등 차세대 클라우드 보안 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본 연구실은 다양한 국가 연구과제와 산업 협력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정보보호 특성화 대학 지원, 고급 보안 인력 양성, 국제 학술대회 발표 및 특허 출원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정보보호 산업 발전과 국가 사이버 보안 역량 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