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조승환 연구실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과

조승환 교수

Transition-metal-catalyzed C-C bond formation

Transition-metal-free borylation

Chemo-, regio-, and stereoselective reactions

조승환 연구실

화학과 조승환

조승환 연구실은 유기합성화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선도하는 연구실로, 새로운 유기합성방법론의 개발과 이를 통한 다양한 기능성 분자의 합성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전이금속 촉매를 이용한 선택적 결합 형성, 입체 및 광학 선택적 합성, 그리고 금속 촉매가 필요 없는 친환경적 합성법 개발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1,1-디보로네이트 에스테르, 알킬보론 화합물 등 붕소를 포함한 새로운 빌딩블록의 합성과 이들의 응용에 대한 연구는 연구실의 핵심 역량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붕소 화합물은 독특한 화학적 특성과 반응성을 바탕으로, 신약 개발, 기능성 소재 합성, 천연물 합성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원천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정부 및 산업체 지원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실험적 연구와 이론적 해석을 병행하여 합성법의 효율성, 선택성, 친환경성 등 여러 측면에서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수의 특허 출원과 국제 저명 학술지 논문 발표를 통해 국내외 학계 및 산업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조승환 교수는 국내외에서 다수의 수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구실의 구성원들은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를 통해 유기합성화학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유기합성화학의 발전과 실용화에 기여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Transition-metal-catalyzed C-C bond formation
Transition-metal-free borylation
Chemo-, regio-, and stereoselective reactions
유기합성방법론 개발
조승환 연구실은 유기합성방법론의 혁신적인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유기분자의 효율적이고 선택적인 합성을 위한 새로운 반응 경로와 촉매 시스템을 탐구합니다. 특히, 전이금속 촉매를 활용한 선택적 결합 형성, 입체 및 광학 선택적 합성, 그리고 금속 촉매 없이도 진행 가능한 친환경적 합성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1,1-디보로네이트 에스테르, 알킬보론 화합물 등 새로운 빌딩블록을 활용한 합성법을 다수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방법론으로는 접근이 어려웠던 다양한 구조의 분자 합성에 성공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의약품, 기능성 소재, 천연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원천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또한 반응의 효율성, 선택성, 친환경성 등 여러 측면에서 기존 합성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실험적 접근과 이론적 해석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유기합성화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국내외 학계 및 산업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붕소 화합물 및 빌딩블록의 합성과 응용
본 연구실은 붕소를 포함한 유기화합물, 특히 1,1-디보로네이트, 알킬보론, 할로디보릴메탄 등 다양한 붕소 빌딩블록의 합성과 이들의 응용에 대한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붕소 화합물은 독특한 화학적 특성과 반응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결합 형성 반응의 개발과 기능성 분자의 합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실에서는 전이금속 촉매 및 금속 촉매가 필요 없는 조건 모두에서 붕소 화합물의 선택적 합성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분자 라이브러리 구축, 신약 후보물질 합성, 기능성 소재 개발 등에 성공하였습니다. 특히, 특허로도 출원된 1,1-이붕소-1-금속치환 알킬 화합물의 개발은 기존 합성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유기반응의 지평을 넓히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단순한 합성법 개발을 넘어, 붕소 화합물의 구조적 다양성과 반응성 제어를 통한 분자설계, 그리고 실제 산업적 응용까지 아우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연구실은 유기합성화학 및 소재화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1
Size­Programmable Matteson­Type Annulation: Construction of Spirocycles from Simple Cyclic Ketones
Jo, Woohyun, Scholz, Juliane K., Lyu, Hairong, 조승환, Dong, Guangbin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202503
2
Regiodivergent Alkylation of Pyridines: Alkyllithium Clusters Direct Chemical Reactivity
Thangsrikeattigun,, Oh, Changjin, Baik, Mu-Hyun, CHO, SH, Jo, W, Ryu, C, Han, 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2502
3
Stereospecific and Stereodivergent Allyl?Allyl Coupling: Construction of Vicinal Tertiary and All-Carbon Quaternary Stereocenters
Jung, Yongsuk, Kim, Jieun, Kim, Gwanggyun, Ko, Jiyeon, Hong, Sungwoo, CHO, SH
ACS Catalysis, 202412
1
연속된 키랄성 중심을 포함하는 분자의 부분 입체 및 광학 선택적 합성 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3차원 화학정보 기반 DNA 암호화 라이브러리 생성 및 분석을 위한 혁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 02월 ~ 2025년
3
생체기능조절을 위한 화학적 공간 창출 연구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년 03월 ~ 2024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