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NBMLAB

부경대학교 의공학전공

오정환 교수

Smart Healthcare

Photoacoustic Imaging

AI-based Automation Systems

NBMLAB

의공학전공 오정환

NBMLAB(나노바이오메카닉스 연구실)은 2008년 부경대학교에서 설립된 이래, 의공학과 해양생명공학의 융합을 기반으로 첨단 바이오메디컬 기술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암 치료 및 진단, 바이오 이미징, 초음파 및 광음향 하이브리드 이미징, 해양생물 유래 기능성 소재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암 치료 및 진단을 위한 혁신적 나노소재 개발에 집중하여, 금속 및 금속산화물, 해양생물 유래 고분자 기반의 나노입자, 하이드로젤, 바이오컴포지트 등 다양한 플랫폼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들 나노소재는 약물 전달, 광열/광역학 치료, 조직 재생, 실시간 바이오 이미징 등 다기능적 응용이 가능하며, 생체적합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양생물에서 추출한 기능성 소재를 활용한 조직공학 및 재생의학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초음파 및 광음향 이미징 분야에서는 고주파 초음파 트랜스듀서, 다채널 펄서/리시버, 고속 스캐닝 모듈 등 자체 개발한 하드웨어와 인공지능 기반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를 결합하여, 의료 진단 및 산업용 비파괴 검사에 적용 가능한 첨단 이미징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광음향 이미징은 조직의 분자적 특성과 구조적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여, 암, 혈관질환, 조직 재생 등 다양한 질환의 조기 진단과 치료 효과 모니터링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정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스마트 팩토리용 초음파 검사 자동화 시스템, 협동로봇 기반 검사 플랫폼,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령화 사회에 대응한 액티브 시니어 헬스케어, 스마트 진단 센서, 웨어러블 의료기기 등 미래형 헬스케어 솔루션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 성과는 국내외 특허, 논문, 기술이전, 산학협력 등 다양한 형태로 실질적인 사회적·산업적 파급효과를 창출하고 있으며, 해양과학과 의공학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바이오헬스케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NBMLAB은 첨단 융합기술을 바탕으로 인류 건강 증진과 미래 바이오메디컬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Smart Healthcare
Photoacoustic Imaging
AI-based Automation Systems
암 치료 및 바이오 이미징을 위한 혁신적 나노소재 개발
본 연구실은 암 치료와 바이오 이미징 분야에서 혁신적인 나노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나노소재는 기존 치료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암세포를 정밀하게 타겟팅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합니다. 특히 금 나노입자,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팔라듐 및 다양한 금속 산화물 기반의 나노소재를 합성하여, 약물 전달 효율을 극대화하고, 광열 및 광역학 치료와 결합하여 암세포 사멸 효과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나노소재는 생체적합성과 안정성이 뛰어나며, 체내에서의 독성 문제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표적 세포에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설계됩니다.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표면 개질 및 기능화 기술을 적용하여, 약물의 방출 속도와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나노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양 유래 생체고분자(키토산, 푸코이단 등)를 활용한 친환경적이고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나노소재도 활발히 연구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암 치료뿐만 아니라, 실시간 바이오 이미징 및 진단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나노소재를 이용한 바이오 이미징은 기존 영상기법보다 높은 해상도와 민감도를 제공하며, 암의 조기 진단과 치료 효과 모니터링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차세대 나노의학 및 정밀의료 실현을 위해 다양한 융합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초음파 및 광음향 기반 하이브리드 이미징 기술 개발
본 연구실은 초음파 영상, 주사 음향 현미경(Scanning Acoustic Microscopy), 광음향 현미경(Photoacoustic Microscopy) 등 첨단 이미징 기술의 개발 및 융합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초음파 이미징은 비침습적이고 실시간 진단이 가능하여 의료 및 산업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본 연구실은 고주파 초음파 트랜스듀서와 다채널 펄서/리시버, 고속 스캐닝 모듈 등 핵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자체 개발하여 영상의 해상도와 신뢰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광음향 이미징은 레이저와 초음파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영상기법으로, 조직의 분자적 특성과 구조적 정보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본 연구실은 광음향 이미징을 이용하여 암, 혈관질환, 조직 재생 등 다양한 생의학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며, 나노소재 기반 조영제와 결합하여 영상의 민감도와 특이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 및 딥러닝 기반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자동화된 결함 탐지, 조직 분석, 실시간 진단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이미징 기술은 의료 진단뿐만 아니라, 반도체 웨이퍼, 용접부, 복합재료 등 산업용 비파괴 검사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스마트 팩토리용 초음파 검사 자동화 시스템, 협동로봇 기반 검사 플랫폼 등 첨단 융합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으며, 국내외 특허와 기술이전을 통해 실질적인 산업적 파급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해양생물 유래 기능성 소재 및 초정밀 의료기기 개발
본 연구실은 해양생물에서 추출한 기능성 소재를 활용한 차세대 의료기기 및 바이오닉스 소재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해양 유래 폴리페놀, 키토산, 푸코이단 등은 우수한 생체적합성과 항암, 항염, 조직재생 촉진 효과를 지니고 있어, 다양한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이러한 해양생물 소재를 기반으로 한 나노입자, 하이드로젤, 복합 바이오소재를 합성하여, 피부재생, 골재생, 조직공학 등 다양한 바이오메디컬 응용 분야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양융복합 바이오닉스 소재를 이용한 초정밀 의료기기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암, 골질환, 피부질환 등 다양한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해양수산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정부기관의 지원을 받아 대형 국책과제를 수행하며, 해양 바이오소재의 상용화 및 산업화에도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해양과학과 의공학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바이오헬스케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지역사회 및 국가적 차원의 해양바이오산업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해양생물 유래 기능성 소재의 탐색, 기능성 검증, 의료기기화 및 상용화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1
Advanced Precision Dual Photothermal and Photodynamic Therapy for Prostate Cancer Using PSMA-ICG-Conjugated Gold Nanorods.
Yeongeun Kim, Sudip Mondal, Hwarang Shin, Soonhyuk Tak, Vu Hoang Minh Doan, Junghwan Oh, Hyun Wook Kang
ACS Bio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2025
2
Advancements, Challenges, and Future Perspectives of MXenes in Biomedicine.
Thi Nhat Linh Phan, Thi Xuan Nguyen, Thi Thuy Truong, Thi Kim Ngan Duong, Vu Hoang Minh Doan, Truong Tien Vo, Mrinmoy Misra, Jaeyeop Choi, Umapada Pal, Junghwan Oh, Sudip Mondal
SmartMat, 2025
3
Extremely-low electrical-hysteresis hydrogels for multifunctional wearable sensors and osmotic power generators.
Siti Aisyah Nurmaulia Entifar, Nisa Aqilla Ellenahaya Entifar, Anky Fitrian Wibowo, Jung Ha Kim, Yulia Shara br Sembiring, Jonatan Martino Windi Saputro, Han-Gyeol Kim, Jong-Oh Kim, Guohua Xie, Junghwan Oh, Soyeon Kim, Dong Chan Lim, Myoung-Woon Moon, Min-Seok Kim, Yong Hyun Kim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025
1
Smart gym-based active senior healthcare intermediation research center (regional leading research center, RLRC)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22년 ~ 1970년
2
Development of defect inspection automation robotics system with high-speed for semiconductor wafers based on AI deep learning
Small and Medium Venture Business Department
2021년 ~ 2022년
3
Development of Welding Inspection Automation and Monitoring System Based on AI laser vision sensor
Ministry of Science and ICT
2021년 ~ 2022년